- 영문명
- Gesture as a teaching strategy in the primary English class: Comparing English native teachers and Korean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노경희(No, GyeongHee)
- 간행물 정보
- 『초등영어교육』제16권 2호, 7~2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8.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eachers make use of both verbal and nonverbal language to facilitate learners’ comprehension. The verbal mode of teacher communication has been extensively examined, but the nonverbal mode has not received equal attention. In order to examine pedagogical values of teachers’ gestures in the primary English class, the present study analyzed 12 pairs of classes by two groups of teachers (English natives and Koreans) in terms of the class, type and function of the teachers’ gestur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ative teachers made use of various types of gestures whereas the Korean teachers restricted themselves to a small sample of gestural types. The native teachers tended to gesture for communicative purposes whereas the Koreans did so for cognitive purposes: Korean teachers’ gestures functioned as ‘thinking hands’ rather than ‘helping hands,’ as shown by the large quantities of adaptors. This study suggests that teachers need to develop their ‘teacher gesture’ repertoires, which are very important communication resources in classroom teaching.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및 논의
V.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 영어 교사 및 학생이 인식하는 효율적인 교수 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
- 초등영어 교수전략으로서의 제스처 분석
- 초등학생들의 초기 읽기 능력과 구두읽기 유창성의 관계
- 각운 패턴을 활용한 소리내어 읽기 지도가 초등영어학습자의 문장강세 습득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 아동문학 텍스트 기반 반응저널 쓰기를 통한 초등영어와 문화의 통합교육
- 원어민 영어교사와 초등학생 간의 의사소통단절 유형과 보완 전략 연구
- Factors Influencing Korean Students’ Participation and Learning in the U.S. Elementary School
- 영어회화 전문강사 제도에 관한 초등학교 기본연수 강사들의 인식 연구
- “Does the English-only class benefit all learners?”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제주이해(제주정체성)교육으로 살펴본 인정도서 『제주배움』: <탐라개국신화> 주제를 중심으로
- 대통령 탄핵 사건을 통해 본 초등학생의 정치 현안 인식과 사회과 수업의 시사점
- 사회과 감정지도화 프로젝트 수업을 통한 학교 공간의 장소감 변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