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과성 이음향방사의 청력 선별기준
이용수 171
- 영문명
- Transient Evoked Otoacoustic Emissions and Audiometric Thresholds in Mild Sensorineural Hearing Loss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황혜경(HyeKyung Hwang) 이정학(Junghak Lee)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7권 제2호, 173~183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2.07.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일과성 이음향방사는 30 - 35 dB HL 이상의 청력선별(screening)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과성 이음향방사를 이용해 정상 청력군과 각 주파수에서 한주파수만이라도 40 dB HL이하의 역치를 보인 감각신경성 난청군의 순음역치와 일과성이음향 방사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청력손실을 예견하는 선별기준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정상군에서는 순음역치, 재현율 및 SNR이 모두 주파수에 따른 차이가 적었다. 하지만, 감각신경성 난청군에서는 1 kHz와 2 kHz에서는 순음역치가 네 주파수의 평균치보다 낮았고 재현율과 SNR은 평균치보다 높았으며, 3 kHz와 4 kHz에서는 순음역치가 높아진 반면 재현율과 SNR은 감소하였다. 둘째, 평균 순음역치와 광대역 TEOAE의 세 가지
매개변수 모두에서 유의한 상관(반응강도 - .58, 재현율 - .40, SNR - .49)을 보였으며, 반응강도(response)에서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주파수별 순음역치와 협대역 TEOAE의 두가지 매개변수(재현율과 SNR) 모두 유의한 상관(- .58)을 보였으며 1 kHz보다 2 kHz 이상의 고주파수에서 보다 높은 상관을 보였다. 셋째, TEOAE의 재현율 50 %와 SNR 7 dB를 기준으로 했을 때 2 kHz와 4 kHz의 협대역 반응이 광대역 반응보다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를 보였다.
영문 초록
TEOAEs have been used as a tool for screening hearing losses. The features of TEOAE parameter s, such as overall response, reproducibility and SNR in each frequency, bandhelp to evaluate the hearing loss more clearly. The frequency spectrum has a relationship with the pattern of audiogram, but it is impossible to find the thresholds of hearing per frequen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hether there is a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the parameter s and mild hearing losses and to establish the standards of parameter s with respect to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parameter including the response, SNR and reproducibility in overall frequencies, and the reproducibility and SNR in four narrow bands with the center frequencies of 1, 2, 3 and 4 kHz. TEOAEs were measured for 30 normal ear s and 50 ear s with mild sensorineural hearing losses. The result s were as follows : (1) In case of mild sensorineural hearing loss,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p < .001) between pure tone average thresholds and overall TEOAEs responses. (2)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also found between each threshold of 1 kHz - 4 kHz and the corresponding reproducibility and SNR. Both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ere high when the SNR of 7 dB and 50 or 70 % of reproducibility were used as screening criteria and the threshold of 25 dB HL as a diagnostic
criteria. These result s suggest that TEOAEs can be a valuable tool especially screening for a mild hearing los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V.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각장애아동의 쓰기에 나타난 담화 응집성 분석
- 2세부터 5세 아동의 종성 발달에 관한 연구
- 성악전공 대학생과 일반 대학생의 /a/ 연장발성 시 음성특성 비교
- 3-6세 한국 아동의 보조사 발달에 관한 연구
- 음운자각중재가 음운장애아동의 음운자각도 및 음운산출능력에 미치는 효과
- 문해활동 중심의 극놀이 중재가 통합된 발달지체 유아의 문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 일과성 이음향방사의 청력 선별기준
- 한국 브로카 실어증 환자의 문장 이해
- 영유아 언어발달검사(SELSI) 개발 연구
- 어머니의 글 없는 그림책 읽기 중재가 자폐아동의 심리적 상태 관련 발화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말소리 발달 특성
- 장애자녀의 초등학교 입학을 위한 학교 선택 시 서울 지역 부모들이 고려한 요인에 관한 연구
- '협동적 쓰기' 교수가 초등 작문장애 학생의 쓰기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 신경언어장애자의 MMN 연구
- 심상기법이 실어증 환자의 색상 - 대상물간의 연상 및 얼굴부위 명명능력에 미치는 효과
- 초기 표현언어발달에 관한 부모보고 평가의 타당도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