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심상기법이 실어증 환자의 색상 - 대상물간의 연상 및 얼굴부위 명명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312
- 영문명
- The Effect of the Imagery Therapy on the Aphasic's Ability of Associating Objects with Colors and Naming Parts of the Face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고은(Un Ko)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7권 제2호, 86~105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2.07.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심상(心像)을 이용한 새로운 기법이 실어증환자를 대상으로 시도되었다. 인지신경심리학에 이론적 토대를 두고 있는 심상기법은 환자의 외적 언어가 아닌, 외적 언어를 창출하기 위한 전언어단계(前言語段階), 즉 언어체제에 접근하기 위한 전반적인 인지과정을 재활동화 시키는 데 주력한다. 실험에는 3명을 대상으로 색상과 대상물간의 연상을 심상훈련을 통해 실시하였으며, 구두적 심상기법 접근이 어려운 다른 3명의 중증 환자에게는 도식적(圖式的) 심상기법을 사용하여 얼굴부위 명명과제를 실시하였다. 심상기법을 사용하기 전과 사용 후의 정반응을 비교한 결과 효과는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환자의 실어증유형과 장애정도보다는 오히려 환자의 인지체계의 변수가 치료효과에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보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s of the imagery therapy on the (1) associating object s with color s and (2) naming part s of the face. The application of imagery therapy has it s foundation on the science of cognitive neuropsychology with the aim of activating the cognitive processes before speech . Six aphasic patient s participated in the study . Three of them were trained with association tasks and the other s were trained with naming tasks. Result 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n speech performance between the two experimental condition s. It seems that the important variable regarding the positive effect s is the degree of activation of an imagery perception, not the degree of speech disability or type of aphasia.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고찰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각장애아동의 쓰기에 나타난 담화 응집성 분석
- 2세부터 5세 아동의 종성 발달에 관한 연구
- 성악전공 대학생과 일반 대학생의 /a/ 연장발성 시 음성특성 비교
- 3-6세 한국 아동의 보조사 발달에 관한 연구
- 음운자각중재가 음운장애아동의 음운자각도 및 음운산출능력에 미치는 효과
- 문해활동 중심의 극놀이 중재가 통합된 발달지체 유아의 문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 일과성 이음향방사의 청력 선별기준
- 한국 브로카 실어증 환자의 문장 이해
- 영유아 언어발달검사(SELSI) 개발 연구
- 어머니의 글 없는 그림책 읽기 중재가 자폐아동의 심리적 상태 관련 발화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말소리 발달 특성
- 장애자녀의 초등학교 입학을 위한 학교 선택 시 서울 지역 부모들이 고려한 요인에 관한 연구
- '협동적 쓰기' 교수가 초등 작문장애 학생의 쓰기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 신경언어장애자의 MMN 연구
- 심상기법이 실어증 환자의 색상 - 대상물간의 연상 및 얼굴부위 명명능력에 미치는 효과
- 초기 표현언어발달에 관한 부모보고 평가의 타당도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A Translation Report on English-Chinese of Smart Thinking (Excerpts)
- Integrating the Spirit of the 20th National Congress of the CPC into the Teaching of Ideological and Political Courses in Higher Education: Reflections and Practices
- 플라톤의 「고르기아스」: 수사술과 논박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