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브로카 실어증 환자의 문장 이해
이용수 1,249
- 영문명
- Sentence Comprehension of Korean - Speaking Adults with Broca's Aphasia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황민아(Mina Hwang)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7권 제2호, 65~8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2.07.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를 사용하는 브로카 실어증 환자가 세 가지 단서(조사, 어순, 생물성 단서)를 체계적으로 조작한 문장을 이해할 때, 어떤 단서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이는지를 정상 성인과 비교하였다. 실어증 환자들은, 정상 성인에 비하여 정도가 약하기는 했지만, 정상성인과 마찬가지로 조사 단서에 가장 많이 의존하여 문장을 이해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영어권 브로카 실어증 환자들이 어순 단서에 가장 많이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던 이전 연구결과와 다른 것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실어증 환자가 보이는 언어적 결함이 언어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보여 주며, 브로카 실어증을 문법형태소 처리의 결함이라는 특정한 구조적 손상으로 설명할 수 없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language impairment of Korean - speaking adult s with Broca s aphasia. Korean is different from other standard European languages in it s strong reliance on grammatical morphemes to signal grammatical relations of words in a sentence. A variety of noun suffixes are used to mark cases in Korean. Use of these case-marker s permit s relative freedom of word order in Korean, although the canonical order of SOV is used most frequently . Given the fact that most researches on aphasia have been carried out in European languages (especially , English ), the language impairment s of Korean - speaking aphasics may not be con sistent with the findings of previous researches. T en Korean - speaking adult s with Broca s aphasia and 15 normal adult s were tested to determine relative sparing and impairment of grammatical morphology , word order , and semantic information in a sentence interpretation task. As normal adult s, the cue that the adult s with aphasia relied mostly on in sentence
interpretation was grammatical morphology , followed by semantic information, and word order at the last . In other words, Korean - speaking adult s with Broca s aphasia were able to process grammatical morphemes even more than semantic information or word order . T hese result s are not con sistent with the notion of selective loss of grammatical mor - phology in Broca s aphasia based on the findings from English - speaking aphasic adult s. T he importance of cross - linguistic differences of language breakdown s in aphasic adult s was discus 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각장애아동의 쓰기에 나타난 담화 응집성 분석
- 2세부터 5세 아동의 종성 발달에 관한 연구
- 성악전공 대학생과 일반 대학생의 /a/ 연장발성 시 음성특성 비교
- 3-6세 한국 아동의 보조사 발달에 관한 연구
- 음운자각중재가 음운장애아동의 음운자각도 및 음운산출능력에 미치는 효과
- 문해활동 중심의 극놀이 중재가 통합된 발달지체 유아의 문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 일과성 이음향방사의 청력 선별기준
- 한국 브로카 실어증 환자의 문장 이해
- 영유아 언어발달검사(SELSI) 개발 연구
- 어머니의 글 없는 그림책 읽기 중재가 자폐아동의 심리적 상태 관련 발화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말소리 발달 특성
- 장애자녀의 초등학교 입학을 위한 학교 선택 시 서울 지역 부모들이 고려한 요인에 관한 연구
- '협동적 쓰기' 교수가 초등 작문장애 학생의 쓰기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 신경언어장애자의 MMN 연구
- 심상기법이 실어증 환자의 색상 - 대상물간의 연상 및 얼굴부위 명명능력에 미치는 효과
- 초기 표현언어발달에 관한 부모보고 평가의 타당도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Integrating the Spirit of the 20th National Congress of the CPC into the Teaching of Ideological and Political Courses in Higher Education: Reflections and Practices
- 플라톤의 「고르기아스」: 수사술과 논박
- ‘자기 형성’에 관한 도덕교육의 철학적 기반 탐색: 「중용」(中庸)의 ‘성’(誠)과 찰스 테일러(Charles Taylor)의 ‘자기 진실성’ 개념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