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진로미결정 고등학생 상담을 위한 사회인지적 이론의 유용성에 관한 고찰
이용수 684
- 영문명
-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Social-Cognitive Theory in the Counseling for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in Career-indecision
- 발행기관
-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이옥형(Lee, Ock Hyung) 이혜진(Yi, Hye Jin)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38집, 245~286쪽, 전체 4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1.30
7,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청년기 진로발달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 가운데 진로의사결정 및 준비행동과 관련된 주요 인지적 변인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진로미결정 고등학생들의 진로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진로상담 전략을 수립하는 데 있어서 진로발달의 사회인지적 이론(social cognitive theory)이 지니는 유용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ajor cognitive variables, which influence career development process for adolescents, which is career decision-making, self-identity, career decision-making efficacy, and career attribution style. In addition to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social cognitive theory in building up the intervention strategy for helping career decision-mak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fter investigating the major research findings related to social cognitive theory in building up the intervention strategy for helping career decision-mak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fter investigating the major research findings related to social cognitive variables influence career indecisiveness of high school students. While existing various theories for career development are facing on criticism that they fail to explain career choice process and performance, the social-cognitive career which is emphasizing the influences of personal and social-environmental factors seems to be able to adequately account for the career development. The Social-Cognitive Theory provides useful frames to understand the way to have career interest, the process of career choice, and through which paths performance result affects on individual cognitive factors. The Social-Cognitive Theory helps to diagnose the client's career problems and find out the resolution. The career counseling for high school students should be the program that will be able to develop reasonable self-confidence of their ability, and provide various opportunities of learning experiences, and reinforce their achievement behaviors. So high school students can explore their careers and seek them more actively and positively. In this point career counseling strategy according to the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helps career development based on self-control, self-recognition for clients. So it will be very useful to counsel for counselor to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to mak decision of their career.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 진로미결정 관련 변인
Ⅲ. 진로에 대한 제이론
Ⅳ. 사회인지적 이론의 진로상담 전략
Ⅴ. 결론
참고문헌
영문초록
핵심용어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1970년대, 유신체제하의 한국천주교회와 국가
- 조선조 주자학의 정치사상적 성격
- 孟子 敎育 哲學思想에 관한 硏究
- 중등교육 개혁의 과제
- 지식기반사회에서 교육평가의 새로운 접근방식의 모색
- 교육대학원 학생의 만족에 관한 구조분석
- 조선후기 정치사회와 천주교회
- 학력사회의 모순구조와 인본교육의 붕괴
- 평생학습시대와 고등교육의 발전 과제
- 惠岡 崔漢綺의 對外觀 硏究
- Teachers' Professional Role Conflicts In Korean Public Middle Schools
- 朝鮮後期 女性文學의 文學史的 考察
- 마음의 이론과 우정에 관한 고찰
- 사회과에서 사고력의 의미와 향상 방안
- 근접발달지대이론과 이중자극 방법 적용 사례연구
- 학교시설의 연계중심 배치모형 연구
- 진로미결정 고등학생 상담을 위한 사회인지적 이론의 유용성에 관한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 한국어판 단축형 번영(thriving)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