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eachers' Professional Role Conflicts In Korean Public Middle Schools
이용수 40
- 영문명
- 발행기관
-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Daehoon Jho(조대훈)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38집, 309~349쪽, 전체 4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1.30
7,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서울에 위치한 공립 남녀 공학 중학교에 근무하는 사회과 교사들의 교직 업무에 관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ethnographic case study)이다. 연구자는 한국 중학교 제도 문화 안에서 사회과 교사들의 일상 업무를 탐색하면서, 한국 중학교 교사들의 업무가 지니는 세 가지의 다면적 역할(multifaceted nature), 즉 담임교사-하위 행정관료-교과전문가로서의 역할을 기술하고, 이러한 독특한 교사의 일 구조가 교과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검토하였다.
연구자는 ‘한국 중학교에서의 교사의 일’이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크게 다음의 세 가지 이론적 가정들을 출발점으로 삼았다. 1) 사회과 교사들의 업무는 주어진 학교 제도 문화 안에서 사회적-문화적으로 구성된다. 2) 학교의 행정구조는 교사들의 일을 분석하는데 있어 중요한 맥락적 변인(contextual factors)으로 작용한다. 3) 교사들은 이미 결정된 지식과 기능의 중립적 전달자가 아니라, 계속적으로 교육과정적-교수적 의사 결정을 내리고 적절한 행동을 취하는 “교육적 조율자(educational gatekeeper)"로서 역할을 한다.
교실 수업 관찰, 심층 면접, 학교 문서 등의 질적 자료의 분석을 통해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잠정적 결론들을 얻어냈다. 첫째, 교과 전문가, 하위 행정 관료, 담임교사로서의 다중적인 교사의 역할은 사회과 교사가 담당하는 일상 업무의 심화성(intensification)을 발생시키고 있었다. 사회과 교사들은 일상적인 교수 활동의 준비보다, 그것과 직접적 관련이 없는 업무들을 수행하는데 상대적으로 더 많은 시간과 정력을 소비하고 있었다. 둘째, 특히 행정적 영역과 교수적 영역 간에서 발생하는 구조적 괴리(structural decoupling)는 교사 개인 그리고 학교 차원에서 모두 나타나고 있었다. 이러한 행정-교수 영역의 구조적 괴리는 결과적으로 행정적 효율성을 위해 교과교육적 목적을 간과하는 학교의 문화적 분위기를 반영하였다. 셋째, 이상의 결과들은 교과전문가로서의 사회 교사의 역할-지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교과교육의 강화를 추구하는 교육당국의 정책과는 모순되는 상황을 야기하고 있었다. 달빛 중학교의 사례는 “교사는 가르치는 자이며, 학교는 그러한 교사의 교수 활동을 지원한다”는 대중의 상식은 상당히 단순화된 것일 수 있다는 점을 강력하게 시사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ethnographic case study situates the meaning of social studies teacher's work in the institutional context of Korean public middle schools. By describing the multifaceted nature of social studies teachers' work in the given context, this study analyzes their professional role conflicts and implications for social studies instruction. Based on the data drawn from in-depth interviews, classroom observations materials, and school materials, I identified the three distinctive roles that most teachers in Korean public middle schools assume on a daily basis: those of homeroom manager, administrative bureaucrat, and subject matter educator. In conclusion, I maintain in this paper that social studies teachers' work, especially the work of those in majority who were homeroom teachers, was intense in nature. More importantly, I argue that, within the institutional culture of the school, the social studies teachers' administrative practices were almost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ir daily instructional practices. This, what I call, structural decoupling between the administrative and the instructional domains is exacerbating the social studies teachers' role-conflict between their administrative and instructional roles, ultimately having a detrimental effect on subject matter education.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Theoreeical framework of the study
Ⅲ. Methodology
Ⅳ. Analyzing the meaning of being a teacher
Ⅴ. Structural decoupling and teacher's professional role confilicts
Ⅵ.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1970년대, 유신체제하의 한국천주교회와 국가
- 조선조 주자학의 정치사상적 성격
- 孟子 敎育 哲學思想에 관한 硏究
- 중등교육 개혁의 과제
- 지식기반사회에서 교육평가의 새로운 접근방식의 모색
- 교육대학원 학생의 만족에 관한 구조분석
- 조선후기 정치사회와 천주교회
- 학력사회의 모순구조와 인본교육의 붕괴
- 평생학습시대와 고등교육의 발전 과제
- 惠岡 崔漢綺의 對外觀 硏究
- Teachers' Professional Role Conflicts In Korean Public Middle Schools
- 朝鮮後期 女性文學의 文學史的 考察
- 마음의 이론과 우정에 관한 고찰
- 사회과에서 사고력의 의미와 향상 방안
- 근접발달지대이론과 이중자극 방법 적용 사례연구
- 학교시설의 연계중심 배치모형 연구
- 진로미결정 고등학생 상담을 위한 사회인지적 이론의 유용성에 관한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 한국어판 단축형 번영(thriving)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