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우 난소에서의 angiogenin 분포와 mRNA 발현에 관한 연구

이용수  21

영문명
Localization and mRNA Expression of Angiogenin in Bovine Ovary
발행기관
대한해부학회
저자명
이흥식(Heungshik S. Lee) 이인세(In-Se Lee) 강태천(Tae-Cheon Kang) 서제훈(Jehoon Seo) 송승훈(Seung-Hoon Song)
간행물 정보
『대한해부학회지』제32권 제1호, 25~33쪽, 전체 9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9.02.28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난소는 난포의 형성, 성장, 파열, 황체형성 및 임신황체의 유지 등과 같은 일련의 생식주기 또는 월경주기에 따라 신혈관형성 (angiogenesis) 및 소멸이 반복되는 장기이다. 신혈관형성은 acidic fibroblast growth factor (aFGF),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 transformation growth factor (TGF)와 같은 신혈관형성인자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우 난소를 대상으로 하여 새로운 신혈관형성인자인 angiogenin의 분포 및 발현을 면역조직화학기법 및 in situ hybridization 기법을 이용하여 확인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한우 난소에서의 angiogenin 면역반응 및 mRNA 발현은 버팀질의 혈관내피세포, 섬유모세포, 혈관평활근세포 등에서 관찰되었다. 2. 원시난포에서의 angiogenin 면역반응 및 mRNA 발현은 관찰되지 않았다. 3. 일차난포의 경우 난포상피세포에서 미약한 angiogenin 면역반응과 mRNA 발현이 관찰되었다. 4. 이차난포에서는 난포상피세포, 속난포막과 바깥난포막에서 angiogenin 면역반응이 강하게 관찰되었으나 mRNA 발현은 난포상피세포에서만 미약하게 관찰되었다. 5. 삼차난포 즉, 성숙난포에는 angiogenin 면역반응 및 mRNA 발현이 난포상피세포, 속난포막 및 난모세포에서 관찰되었으며 바깥난포막에서는 미약하게 관찰되었다. 6. 황체에서는 angiogenin 면역반응 및 mRNA 발현이 매우 강하게 관찰되었지만 황체가 퇴화되면서 그 정도가 점차 미약 해졌다. 7. 폐쇄난포의 경우, angiogenin 면역반응 및 mRNA 발현이 관찰되었지만 후기에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신혈관형성인자로만 인식됐던 angiogenin이 FGF, TGF 등과 함께 난포의 성숙 및 난모세포의 발육 등에 관여하는 성장인자 (growth factor)로서도 작용함을 시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Ovary is one of the organs in which angiogenesis occurs during ovarian cycle. Angiogenesis is associated with angiogenic factor like acidic fibroblast growth factor,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and transformation growth factor. Therefore, we performed this study to identify the distribution and mRNA expression of angiogenin, new potential angiogenic factor, in ovary of Korean native cattle by immunohistochemistry and in situ hybridization. Angiogenin immunoreactivity and mRNA expression were observed in endothelial cells, fibroblast and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However, we could not observed angiogenin immunoreactivity and mRNA expression in primordial ovarian follicle. In follicular epithelial cells of primary ovarian follicle, weak angiogenin immunoreactivity and mRNA expression were observed. Follicular epithelial cells, theca interna and externa in secondary ovarian follicles, showed angiogenin immunoreactivity, while follicular epithelial cells did the weak mRNA expression. Angiogenin immunoreactivity and mRNA expression were observed in follicular epithlial cells, theca interna and oocyte in tertiary ovarian follicle. The corpus luteum showed strong immunoreactivity and mRNA expression but atretic follicle weak. However, these angiogenin immunoreactivity and mRNA expression became to be weaker during regres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giogenin may play a role as not only an angiogenic factor but a growth factor in ovary.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흥식(Heungshik S. Lee),이인세(In-Se Lee),강태천(Tae-Cheon Kang),서제훈(Jehoon Seo),송승훈(Seung-Hoon Song). (1999).한우 난소에서의 angiogenin 분포와 mRNA 발현에 관한 연구. 대한해부학회지, 32 (1), 25-33

MLA

이흥식(Heungshik S. Lee),이인세(In-Se Lee),강태천(Tae-Cheon Kang),서제훈(Jehoon Seo),송승훈(Seung-Hoon Song). "한우 난소에서의 angiogenin 분포와 mRNA 발현에 관한 연구." 대한해부학회지, 32.1(1999): 25-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