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흰쥐 입천장주름 발생시 바닥막에서의 laminin, fibronectin, 제4 형 아교섬유의 분포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이용수 14
- 영문명
- Immuniohistochamical Study of the Distribution of Laminin, Fibronectin, and Type IV Collagen on the Palate Epithelium with Respect to Rugae Development
- 발행기관
- 대한해부학회
- 저자명
- 황영일(Young-Il Hwang) 유영복(Youngbok Yoo) 황덕호(Douk Ho Hwang)
- 간행물 정보
- 『대한해부학회지』제32권 제1호, 85~94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9.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세포사이물질의 한 형태인 바닥막은 개체발생 시에 여러 종류의 조직 발달 및 분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
다. 입천장주름의 발생은 입천장상피, 중간엽조직 및 바닥막의 형태학적 변화를 동반함으로써 태생기 조직 발생의 한 표본으로 생각된다. 입천장주름 발생시에도 바닥막 성분은 주름의 발생 및 분화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며 만약 그렇다면 발생 시기에 따라 바닥막 성분은 변화를 보일 것이다. 본 실험은 태령 16, 17, 18, 19, 20, 21일 태자를 대상으로 입천장상피에서 바닥막의 성분인 laminin, fibronectin 및 제4 형 아교섬유의 시기 및 부위에 따른 변화를 살펴보고자 시행하였다. Laminin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 결과 입천장상피 바닥막에서 그 염색성은 태령 17일에 입천장의 앞쪽에서부터 염색성이 떨어지기 시작하여 임신 말기에는 거의 염색되지 않았다. 입천장에서도 주름 부위 바닥막에서는 주변 바닥막에 비하여 염색성이 더욱 떨어졌는데 이런한 현상은 태령 16일의 주름에서부터 나타났으며 이후에도 계속되었는데 입천장에서 보다 앞쪽에 위치한 주름에서 먼저 나타났고 태령이 증가함에 따라 뒤쪽 주름에서도 나타났다. Fibronectin에 대한 염색 결과도 기본적으로는 laminin염색에서와 유사하였으나 제4형 아교섬유는 임신 말기까지 그 염색성을 유지하였으며 태령 21일에 이르러서야 잎천장의 앞에 위치한 주름에서 염색성이 다소 떨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관찰한 바와 같이 바닥막의 성분은, 그 중에서 특히 laminin과 fibronectin은 입천장주름의 발생과 더불어 그 성분이 변함을 보여서 이들 성분이 주름의 발생 및 분화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영문 초록
The basement membrane, as a specialized form of extracellular matrix, is known to influence the development and
differentiation of several kinds of organs and tissues. The development of palatal rugae involves morphological changes of oral epithelium, basement membrane (BM), and mesenchymal tissue and, thus, is thought to be one of the model systems of embryonic development. The BM is thought to influence also the rugae development and defferentiation. If so, the components of the BM would change during rugae developmen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bserve the changes of laminin, fibronectin, and collagen type IV in the oral BM during the fetal ages 16~21 by immunohistochemistry.
The stainability to laminin began to disappear at the anterior portion of the palate on day 17, and at the end
of the gestation showed hardly the immunoreactivity to laminin. Along with the decrease of the stainability through the oral apithlium, the BM of rugae area revealed more decreased reactivity to laminin compared to inter-rugal area and such a phenomina could be observed with anterior rugae first and with the middle and posterior rugae thereafter. The stainin pattern of fibronectin was also similar to that of laminin. In case of collagen IV, it maintained the immunoreactivity tro collagen IV with a little decrease at the anterior rugae on day 21 of gestation.
As was observed, the components of BM, especially the laminin and fibronectin, changed in its immunoreactivity in parallel to the development of the rugae, which enables us to suggest their relationship to the development and differentiation of the rugae.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흰쥐 입천장주름 발생시 바닥막에서의 laminin, fibronectin, 제4 형 아교섬유의 분포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 태생기 중 대동맥활 및 그 분지에서 내측층판단위의 발생에 관한 형태학적 연구
- 배양한 임신 말기 흰쥐 태자 가로무늬근육세포의 세포뼈대
- 뇌실곁핵 (paraventricular nuclei)에서 탈수자극에 의한 neuropeptide 면역반응양상 변화
- Expression of Bcl-2 and Bax mRNAs During Follicular Development and Atresia in the Rat Ovary
- Capsaicin으로 유도된 신경성 염증반응에 미치는 상백피의 영향
- Acriflavine-Guanosine 복합제(AG60)의 조직내 분포에 대한 형광현미경적 연구
- 항암제 AG60이 흰생쥐 위점막 상피세포의 DNA 합성에 미치는 영향 : 자기방사법적연구
- 생후 등줄쥐의 대뇌겉질 및 줄무늬체에서 NADPH-diaphorase 양성신경세포에 관한 연구
- 한우 난소에서의 angiogenin 분포와 mRNA 발현에 관한 연구
- 출생후 흰쥐 망막에서 recoverin 면역반응 원뿔두극세포의 분화와 GABA성 무축삭세포와의 연접형성 시기
- 척수절단, 척수신경 앞뿌리 및 뒤뿌리절단에 의한 척수앞뿔세포의 α/β-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 발현의 변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세포교정영양요법(OCNT)을 이용한 녹내장 개선 사례
- 세포교정영양요법(OCNT)을 이용한 백신 이상반응 개선 사례 보고
- 세포교정영양요법(OCNT)을 이용한 갑상선 기능 저하증 개선 사례 보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