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fluence of Cortex mori on the Capsaicin-induced Neurogenic Inflammation
- 발행기관
- 대한해부학회
- 저자명
- 윤창용(Chang-Yong Yoon) 신동환(Dong-Whan Shin) 홍충만(Choong-Man Hong) 이원규(Won-Kyu Lee) 장동덕(Dong-Deuk Jang) 채옥희(Ok-Hee Chai) 강경진(Kyoung-Jin Kang) 이무삼(Moo-Sam Lee)
- 간행물 정보
- 『대한해부학회지』제32권 제1호, 1~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9.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Capsaicin은 감각신경 (C-fiber)을 선택적으로 자극하여 신경종말에서 신경펩타이드 (neuropeptide)의 분비를 유도함으로써 신경성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본 실험은 이러한 Capsaicin에 의해 유도되는 피부혈관투과성, 시험관내에서 비만세포의 histamine유리, 칼슘유입 및 cAMP 활성의 변화에 뽕나무뿌리 껍질 (상백피)의 수용성추출물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Capsaicin은 흰쥐의 피부혈관투과성과 비만세포로부터의 histamine유리 및 칼슘유입을 용량의존적으로 증가시켰으며 세포내 cAMP의 양은 감소시켰다. 한편, 상백피의 전처리는 Capsaicin에 의하여 증가한 피부혈관투과성을 용량 의존적으로 감소시켰고 histamine유리 및 칼슘유입을 현저하게 억제시켰으며 cAMP의 양은 현저하게 증가시켰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보아 상백피에는 Capsaicin에 의하여 증가한 피부혈관투과성을 억제시키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작용은 상백피가 비만세포의 활성화를 억제시킴으로써 나타나는 현상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e root bark of mulberry (Morus alba L. Cortex Mori and other plant of the genus Morus) has been used as an
antiphlogistic, diuretic, and expectorant in herbal medicine, and the crude drug is known as “Sangbaikpi”in Korea.
Capsaicin, a neurotoxin extracted from a red peppers, has selective effects on peptide-containing C-fiber and induces the release of neuropeptides from sensory nerve ending. But, any reports about the influences of Cortex mori (CM) on the capsaicin-induced neurogenic inflammation were not found, and the precise mechanism of capsaicin-induced neurogenic inflammation remains incompletely underst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CM could inhibit the capsaicin-induced cutaneous reaction, and to find out its action mechanism. For this purpose, influences of CM on the capsaicin-induced cutaneous reaction (vascular permeability) in back skin of Sprague-Dawley rat, capsaicin-induced histamine release, calcium influx and the change of intracellular cAMP level in rat peritoneal mast cell were estimated.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Pretreatment of CM inhibited remarkably the capsaicin-induced cutaneous reaction.
2. The capsaicin-induced histamine release was inhibited by pretreatment with CM.
3. Capsaicin-induced calcium influx into mast cell was also inhibited by pretreatment with CM.
4. Capsaicin-induced decrease of cAMP level in the mast cell was inhibited significantly by pretreatment with CM.
These results suggest that CM contains some substances with an anti-neurogenic inflammatory activity which inhibit the capsaicin-induced cutaneous reaction through the mechanism of mast cell stabilization.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흰쥐 입천장주름 발생시 바닥막에서의 laminin, fibronectin, 제4 형 아교섬유의 분포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 태생기 중 대동맥활 및 그 분지에서 내측층판단위의 발생에 관한 형태학적 연구
- 배양한 임신 말기 흰쥐 태자 가로무늬근육세포의 세포뼈대
- 뇌실곁핵 (paraventricular nuclei)에서 탈수자극에 의한 neuropeptide 면역반응양상 변화
- Expression of Bcl-2 and Bax mRNAs During Follicular Development and Atresia in the Rat Ovary
- Capsaicin으로 유도된 신경성 염증반응에 미치는 상백피의 영향
- Acriflavine-Guanosine 복합제(AG60)의 조직내 분포에 대한 형광현미경적 연구
- 항암제 AG60이 흰생쥐 위점막 상피세포의 DNA 합성에 미치는 영향 : 자기방사법적연구
- 생후 등줄쥐의 대뇌겉질 및 줄무늬체에서 NADPH-diaphorase 양성신경세포에 관한 연구
- 한우 난소에서의 angiogenin 분포와 mRNA 발현에 관한 연구
- 출생후 흰쥐 망막에서 recoverin 면역반응 원뿔두극세포의 분화와 GABA성 무축삭세포와의 연접형성 시기
- 척수절단, 척수신경 앞뿌리 및 뒤뿌리절단에 의한 척수앞뿔세포의 α/β-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 발현의 변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세포교정영양요법(OCNT)을 이용한 녹내장 개선 사례
- 세포교정영양요법(OCNT)을 이용한 백신 이상반응 개선 사례 보고
- 세포교정영양요법(OCNT)을 이용한 갑상선 기능 저하증 개선 사례 보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