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ifferentiation of Recoverin Immunoreactive Cone Bipolar Cells and Their Timing of Synaptic Formation with GABAergic Amacrine Cells in the Rat Retina
- 발행기관
- 대한해부학회
- 저자명
- 박대균(Dae-Kyoon Park) 김인범(In-Beom Kim) 천명훈(Myung-Hoon Chun) 정진웅(Jin-Woong Chung)
- 간행물 정보
- 『대한해부학회지』제32권 제1호, 73~84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9.02.28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Recoverin은 칼슘결합단백질의 하나로 광수용세포에서 phosphodiesterase를 조절하고 로돕신의 phosphorylation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원뿔두극세포에서 recoverin의 기능적 중요성이 완전히 이해된 것은 아니지만, recoverin에 대한 항혈청은 원뿔두극세포의 특정 세포군을 동정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GABA는 포유류의 망막을 포함한 중추신경계에서 주요한 억제성 신경전달물질로 알려져 있다.
이 실험에서는 recoverin 항체를 이용한 면역세포화학법으로 출생후 흰쥐의 망막에서 recoverin 면역반응 원뿔두극세포를 구분 동정하고, 이들 세포와 GABA성 무축삭세포와의 연접형성시기를 이중표지면역세포화학법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성숙 흰쥐의 망막에서 recoverin 면역반응 원뿔두극세포는 축삭종말이 속얼기층의 a 아층판에 분지하는 2형 두극세포와 b 아층판에 분지하는 8형 두극세포로 구분되었다.
2. recoverin 면역반응 원뿔두극세포는 생후 5일부터 출현하였으며, recoverin 면역반응 2형 원뿔두극세포의 축삭종말은 생후 10일에 분지하였고, 8형 세포의 것은 13일에 분지하였다.
3. 생후 10일에 2형 원뿔두극세포의 축삭종말은 속얼기층에서 GABA성 무축삭세포와 연접을 이루었다.
이상의 결과로서 recoverin 면역반응 2형 원뿔두극세포가 8형 원뿔두극세포에 비하여 일찍 분화하며, 출생후 10일을 전후하여 2형 원뿔두극세포와 GABA성 신경원사이의 시각정보처리를 위한 신경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Recoverin is a member of the large family of EF-hand calcium binding proteins (Baimbridge et al., 1992), and it is thought to be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phosphodiesterase in photoreceptors and in the phosphorylation of activated rhodopsin (Polans et al., 1996). Although the functional significance of recoverin in cone bipolar cells is not fully understood, the antiserum against recoverin has been widely used to identify a certain population of cone bipolar cells (Milam et al., 1993; Sassoè-Pognetto et al., 1994; Euler & Wässle, 1995). GABA is well known to act as major neurotransmitters in the mammalian central nervous system including retin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development process of recoverin-labeled cone bipolar cells, and the timing points of synaptic formation of the labeled bipolar cells and GABAergic amacrine cells in the rat retin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the adult rat retina, recoverin-labeled cone bipolar cells were subdivided into twotypes; type 2 cells with axon terminal stratified in sublamina a of the inner plexiform layer (IPL), and type 8 cells with axon terminals stratified in sublamina b of the IPL. Recoverin-labeled cone bipolar cells began to appear from postnatal day 5. The axon terminals of recoverin-labeled type 2 cone bipolar cells stratified at postnatal day 10, while those of type 8 cone bipolar cells stratified at postnatal day 13. The axon terminals of type 2 cone bipolar cells made ribbon synapses onto GABAergic amacrine cells in the IPL at postnatal day 10.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recoverin-labeled type 2 cone bipolar cells differentiate earlier than recoverin-labeled type 8 cone bipolar cells, and suggest that GABAergic amacrine cells may play important roles in visual processing of recoverin-labeled type 2 cone bipolar cells by making synapse onto these cells at early stage. Synapses between type 2 cone bipolar cells and GABAergic amacrine cells are formed about the time of postnatal day 10 for visual processing.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흰쥐 입천장주름 발생시 바닥막에서의 laminin, fibronectin, 제4 형 아교섬유의 분포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 태생기 중 대동맥활 및 그 분지에서 내측층판단위의 발생에 관한 형태학적 연구
- 배양한 임신 말기 흰쥐 태자 가로무늬근육세포의 세포뼈대
- 뇌실곁핵 (paraventricular nuclei)에서 탈수자극에 의한 neuropeptide 면역반응양상 변화
- Expression of Bcl-2 and Bax mRNAs During Follicular Development and Atresia in the Rat Ovary
- Capsaicin으로 유도된 신경성 염증반응에 미치는 상백피의 영향
- Acriflavine-Guanosine 복합제(AG60)의 조직내 분포에 대한 형광현미경적 연구
- 항암제 AG60이 흰생쥐 위점막 상피세포의 DNA 합성에 미치는 영향 : 자기방사법적연구
- 생후 등줄쥐의 대뇌겉질 및 줄무늬체에서 NADPH-diaphorase 양성신경세포에 관한 연구
- 한우 난소에서의 angiogenin 분포와 mRNA 발현에 관한 연구
- 출생후 흰쥐 망막에서 recoverin 면역반응 원뿔두극세포의 분화와 GABA성 무축삭세포와의 연접형성 시기
- 척수절단, 척수신경 앞뿌리 및 뒤뿌리절단에 의한 척수앞뿔세포의 α/β-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 발현의 변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세포교정영양요법(OCNT)을 이용한 녹내장 개선 사례
- 세포교정영양요법(OCNT)을 이용한 백신 이상반응 개선 사례 보고
- 세포교정영양요법(OCNT)을 이용한 갑상선 기능 저하증 개선 사례 보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