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Relevance between the Holistic Paradigm and the Social Science
- 발행기관
-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 저자명
- 유문무(Yoo, Mun Mu)
- 간행물 정보
-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홀리스틱교육연구 제13권 제2호, 17~3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8.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대사회의 사회현상 및 문제들을 분석․설명하고 대책을 마련함에 있어, 기존의 사회분석틀만으로는 그 한계가 너무나 분명하게 드러나고 있다. 사회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여러 이론들이 새롭게 등장하고 있지만, 그 역시 실재론과 명목론의 양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사회현상을 현실적 입장에서 거시적으로 판단하는 실재론과, 사회구성원의 능력과 역할에 초점을 두고 있는 명목론의 입장을 포괄하는 사회분석틀의 마련이 필요한 이 시점에서 종합성과 관련성을 강조하는 홀리스틱패러다임과 사회과학의 만남은 대단히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 주고 있다. 홀리스틱 패러다임이 추구하는 이념적 특성이 전일성의 추구, 공동체의 추구, 전인성의 추구, 정신성의 추구 그리고 생태환경의 추구임을 볼 때,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이 논문은 기존의 사회과학이 갖고 있는 분석틀의 핵심적 내용과 그 한계를 통해, 홀리스틱 교육 패러다임과 사회과학과의 상관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erspectives to analyze the society are classified with the Social Realism and the Social Nominalism. These perspectives have many social research methods. But the present social paradigms including these social research methods have the unavoidable limits in analyzing the social phenomena and solving the social problem because of the dichotomous nature of them. The Social Realism is to the structure, the whole and the macro what the Social Nominalism is to the individual, the meaning and the micro. The holistic paradigm gives suggestions to incorporate these two polarized perspectives in that the ideological characters of the holistic paradigm are the pursuit of the whole, the community, the spirituality, and the whole-man. Thus, this paper comes down to the study on the relevance between the holistic paradigm and the social science.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사회과학 방법론 논쟁의 계보
Ⅲ. 실증주의 대 반실증주의 사회과학관
Ⅳ 현대 사회분석틀과 홀리스틱 패러다임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