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Holistic Physical Education and Caring
- 발행기관
-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 저자명
- 이제행(Lee, Je Haeng) 박채희(Park, Chae Hee)
- 간행물 정보
-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홀리스틱교육연구 제13권 제2호, 101~12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8.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배려지향적인 관점에서 홀리스틱 체육교육의 영역과 가치를 논하기 위해 배려의 측면과 체육교육과의 관련성 측면을 중심으로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 등을 탐색하였으며, 각종 문헌이나 선행연구의 분석을 위한 내재적 관점에서의 비평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배려지향적인 체육교육의 관점은 크게 관계성, 관심과 책임, 친밀성, 감응성의 영역으로 구분되었다. 관계성의 영역에서는 나, 친구(동료), 교사, 교과내용, 평가, 자원(환경)으로 세분화 되었고, 관심과 책임의 영역에서는 양성, 수업 기피자, 운동기능이 낮은 학습자, 장애 학생의 하위 영역으로 세분화 되었으며, 친밀성의 영역은 재미와 근접성이 있어야 한다는 점을 중요시하였다. 감응성의 영역에서는 동기, 자신감, 책무성, 성취감 등에 배려지향적인 체육교육의 관점이 집중되었다. 둘째, 배려지향적인 관점에서 체육교육의 실제적인 모습의 하나로 스포츠맨십의 의미와 가치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과 실천 방안을 재조명하고 확고히 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즉 체육교육 현장의 적용과 관련해서 현재의 개인 기능 위주의 운동 학습이 아닌 팀이나 단체가 함께 공동의 목표를 성취할 수 있는 팀 활동의 활용이 의미 있게 제기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earched related literature and research for discussing values and categories of holistic physical education around aspect related caring. This study were obtained result through criticism of internal viewpoint. First, care-oriented viewpoint of physical education were categorized relationship, interest and responsibility, kinship, irritability. Domain of relationship were departmentalized oneself, co-worker, teacher, curriculum, evaluation and environment. Domain of interest and responsibility were departmentalized avoiding student in gender equity in physical education, low-motor skilled students, disable student Domain
of kinship were emphasized enjoyment and proximity. Domain of irritability were concentrated by care-oriented viewpoint of physical education motive, confidence, responsibility, achievement. This study emphasized that social understanding about the meaning and value soprtsmanship should be renewed and firmed in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This study recommend team activities that is not oriented individual learning but enable to achieve common goal in aspect of physical education.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