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xpression of address in Civil Law related to "Road Name and Address Marking Act"
- 발행기관
- 한국재산법학회
- 저자명
- 오병철(Oh, Byoung-Cheol)
- 간행물 정보
- 『재산법연구』財産法硏究 第25卷 第3號, 43~81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2.28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Since Japanese colonial rule we have used a lot number as an address in civil law relation without an applicable act. However an address in public law relation is also expressed with a lot number under "Citizen Registration Act". For settlement of problem caused a lot number as an address Korean government enacted "Road Name and Address Marking Act" in 2006. The act has a provision that marking of address is changed from a lot number to a 'Road name address' assigned every building in public law relation.
This change is not applicable in civil law relation in principle. But it has an indirect effect on civil law relation with some kinds of public records as followings. (1) An address of related person in the register of building is marked with a 'Road name address'. (2) A 'Road name address' is also entered in the register of building and the building ledger in addition to a lot number. (3) The standard place of registration in a family status registry is marked with a 'Road name address' under "Road Name and Address Marking Act", but it is tentatively substituted by a lot number until completion of road name address project. (4) The address of a testator in a holograph document can be marked by the alternative of a 'Road name address' or a lot number in spite of "Road Name and Address Marking Act".
목차
I. 서론
II. 민법상 주소의 표기방법
III. 민법상 주소의 법적 기능과 표기방법의 영향
IV. 부동산관련 공부상의 표기에 미치는 영향
V. 가족법에 미치는 영향
VI.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채권자대위권에 있어서 금전채권을 보전할 필요성
- 중국 물권법상의 소유권 제한
- 예외법 확대적용 금지의 원칙
- 민법개정과 착오법리
- 附錄 외
- 베트남 기업입법의 배경과 개정기업법의 구조
- 학교안전사고와 손해배상책임
- 점유자의 과실취득권과 부당이득
- 법학교육에 대한 새로운 방법론
- 중국 농촌집체토지수급경영권의 징수와 보상제도
- 이사회의 보수결정에 대한 미국법원의 사법심사와 이사의 성실의무
- 제575조의 하자담보책임에 대한 비판적 논의
- 격지자 간의 계약성립시기에 관한 검토
- 불공정약관 조항의 유형과 특징
- 할부거래법 개정안에 대한 고찰
- 소멸시효와 제척기간
- 민법상 주소의 표기방법에 관한 연구
- 위탁저작물의 업무상저작물성
- 宗敎團體의 紛爭과 財産歸屬에 관한 硏究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