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전적 은유론과 해석학적 은유론 비교 고찰
이용수 146
- 영문명
- A Comparative Inquiry of Classical Metaphor Theory and Hermeneutics Metaphor Theory : Centering of Aristotle and Ricoeur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오형엽(Hyung-yup, Oh)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第58輯, 485~50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writing wishes to investigate classical metaphor theory and hermeneutics metaphor theory to attain footing on which modern literature study and criticism can be progressed more deeply. We need work that fill the gap between two split, that is, 'figures rhetoric' and 'argument rhetoric' since middle of 20th century, and it is necessary to use the view of this 'synthetic rhetoric' in literature study and criticism. This writing puts in order with this critical mind centering of Aristotle's metaphor theory and Paul Ricoeur's hermeneutics metaphor theory. And then this writing searches for potential of rhetorical literature criticism investigating metaphor theories in modern rhetoric.
Aristotle defined metaphor in dimension of 'name' or 'word' in Poetics, and regarded that metaphorical meaning of the word is attained though 'similarity' and 'alternation'. He described adequate or inadequate of metaphor, shortage of style in metaphor etc. in Rhetoric, and described essential point to principle of legibility to have in the use regarding the definition in Poetics as self-evident thing. Traditional writing of books since Aristotle reinforced mainly his opinion, and emphasize principle of 'gracefulness' which insist necessary nature and agreement between metaphor factors mainly.
Ricoeur divide various access methods about metaphor into rhetoric viewpoint․semantic viewpoint․hermeneutics viewpoint greatly and make clear the path in area of word․meaning of sentence․interpretation of text as place that metaphor happens. In dimension of word. Ricoeur regards that modern semantics that handle metaphor institutes doubt in premises of classical rhetoric, and refers to theories of I.A. Richard․Max Black․Monroe Beardsley․Colin Murray Turbayne․Philip Ellis Wheelwright etc. In dimension of the sentence meaning, Ricoeur regards place of metaphor as not only word and not only sentence, but that is between words and sentences. He lays stress on tension which comes from extension and connotation, literally meaning and changed meaning, reader's expected expression and anther expression refering to Beardsley's 'interaction theory'. In dimension of text interoretation, Ricoeur claims that discovery ability of metaphor has dimension of reference as meaning creation, and that expose actual re-description through metaphor, that is, truth. And he judges that Berggern's 'tension theory' can explain truth concept of metaphor more advisably than these, refering to Wheelwright's 'poetic ontology' and Turbayne's 'conceptional ontology'.
If see in view of rhetoric, Ricoeur shows one direction of synthetic rhetoric on the point that sutures and circulates concept and theory that is split through hermeneutic roaming that analyzes and interprets characteristics of several studies, and on the point that achieve re-categorizing work of actuality along with dynamic signifying work by stratigraphy of language that metaphor reveal is extended to stratigraphy of text via sentence in wor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역사소설과 대중성
- 19세기 장편 한문소설과 청말 재학소설의 지식 제시 방식
- 고전소설의 무덤 활용양상과 문학적 기능
- 대한매일신보 소재 시조의 텍스트 변형 사례
- 김정일의 북한 문화예술의 지도 원리와 양상 고찰
- 자아정체성 구성을 위한 자전적 글쓰기 교육의 실제
- 玉所 權燮 漢詩의 閭巷文學的 性格
- 지명어의 탈락과 축약 현상에 대하여
- 탈관념의 시쓰기와 몸의 현상학
- 語文硏究 편집 및 심사규정 외
- 기억을 통한 오늘의 ‘일상’과 ‘소외’의 두 방식
- 한국 현대소설에서 ‘정신주의’에 대한 연구
- ‘연암(燕巖)’이라는 고전의 형성과 그 기원(1)
- 청주 ‘압각수(鴨脚樹)’ 전설의 전승력과 ‘홍수’화소의 지역성
- 다매체 환경에서 문학의 정체성과 연구방법 모색
- 유치환 초기 시의 동물 상징 체계
- 서술성 명사의 판별과 관련된 몇 문제
- 대중매체 언어와 국어 음운론 연구
- 후부지명소의 분포를 통한 지명어의 지역적 특성 연구
- 고전적 은유론과 해석학적 은유론 비교 고찰
- 『조선동화집』 수록 동화의 부정적 호랑이像 偏載 현황과 원인
- 충청 지역 서사민요의 전승양상과 문화적 특질
- 사회 환경의 변화와 국어학 연구의 방향
- <소약란직금도>의 갈등양상과 그 해결의 의미
- 누정 건축 공간과 누정시 연구 방법론 모색
- 金壽長의 孤山 尹善道 詩歌 受容과 그 意義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