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치환 초기 시의 동물 상징 체계
이용수 120
- 영문명
- The System of Animal Symbol in Yu Chi-Hwan's Earlier Poetry : centers on Cheongmasicho, Sangmyounuiseo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이지원(Ji-won, Lee)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第58輯, 535~56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the studying process of poetry text, Analysing and extracting the meaning of symbol is a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consciousness of a poet.
A study on symbol can be dealt with in various ways. This paper, particularly, pays attention to animal symbol because poetic language about animal appears frequently. In addition, the poetic language offers clues to understand poet's consciousness.
A study that detects the unique system on animal symbol and reserchs relationship between symbol's ways and consciousness in Yu's earlier works is very useful basic work in that it can prove his poet's essence, the change of consciousness accroding to creation times and the aggregate harmony as an aim. This paper can confirm the system of animal symbol based on Cheongmasicho, Sangmyouniseo.
First, 'KKamaki'(crow) represents an enclosed self who stands alone in dark reality. 'KKamaki' contains the negative notion that the human has granted, including images
such as black color, dark times, space in an enclosed space on the earth. Yu Chi-Hwan experiencing enclosed self in gloomy reality spece combines heaviness, gloom of darkness with KKamaki's essential attributes. Through this he reveals his conscious world, Especially, He sees himself as KKamaki, leanding him to self-torture of poet.
Second, the 'Barkjie(bat)', 'Tarjoo(ostriches)', 'Hark(crane)' in the mixed context of the dark and light reflects the contradictions of human beings. Yu Chi-Hwan's conern toword the nature of human linked the contradictory nature of human beings. His consciousness is materialized in poetry through the controdictory way to identify himself with animals and empathy. The structural contradiction of animals caused by innate property, contradictory nature and attitude of existence which stays in darkness of the earth, heading heavenly light, play a major role to release being's contradictoriness. In addition, Yu Chi-Hwan recognizes light as more vivid world of consciousness. He has an intention to understand being's contradictoriness by placing animals in the middle of dark and light.
Third, the 'Hwanggeumsarza(Golden Lion)', Byeongaari(chick)', 'sorigae(Kite)' is transcendental existence in the intense light world. 'Hwanggeumsarza' and 'Byeongaari' with a transcendental power and absolute value and 'sorigae' as Him who tries to esscapr human world. A poet connects the vicious Hwanggeumsarza staring the sun with 'Byeongaari' having same color with gold and the sun, thus creates new meaning as transcendental being. In the light of the sun is transcendence done. Thus Yu Chi-Hwan selects the penetration and immanence of light. In particular, when singing transcendence, he shows tough tone of men as speaking ways.
In short, the system of animal symbol in Yu's earlier works is his conscious system to aware existence. In the system of darkness, light and their mixing, his consciousness moves dynamically, In other words, Yu's conscious path, from the darkness to light, earth to heaven, enclosed to open self, is known through the variety of symbol system of animal. And his hylomorphic techniques as well as thoughts is a great system. Therefore, there are enough possibilities to reinterprete Yu Chi-Hwan's poetry world through studying the system of animal symbol.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역사소설과 대중성
- 19세기 장편 한문소설과 청말 재학소설의 지식 제시 방식
- 고전소설의 무덤 활용양상과 문학적 기능
- 대한매일신보 소재 시조의 텍스트 변형 사례
- 김정일의 북한 문화예술의 지도 원리와 양상 고찰
- 자아정체성 구성을 위한 자전적 글쓰기 교육의 실제
- 玉所 權燮 漢詩의 閭巷文學的 性格
- 지명어의 탈락과 축약 현상에 대하여
- 탈관념의 시쓰기와 몸의 현상학
- 語文硏究 편집 및 심사규정 외
- 기억을 통한 오늘의 ‘일상’과 ‘소외’의 두 방식
- 한국 현대소설에서 ‘정신주의’에 대한 연구
- ‘연암(燕巖)’이라는 고전의 형성과 그 기원(1)
- 청주 ‘압각수(鴨脚樹)’ 전설의 전승력과 ‘홍수’화소의 지역성
- 다매체 환경에서 문학의 정체성과 연구방법 모색
- 유치환 초기 시의 동물 상징 체계
- 서술성 명사의 판별과 관련된 몇 문제
- 대중매체 언어와 국어 음운론 연구
- 후부지명소의 분포를 통한 지명어의 지역적 특성 연구
- 고전적 은유론과 해석학적 은유론 비교 고찰
- 『조선동화집』 수록 동화의 부정적 호랑이像 偏載 현황과 원인
- 충청 지역 서사민요의 전승양상과 문화적 특질
- 사회 환경의 변화와 국어학 연구의 방향
- <소약란직금도>의 갈등양상과 그 해결의 의미
- 누정 건축 공간과 누정시 연구 방법론 모색
- 金壽長의 孤山 尹善道 詩歌 受容과 그 意義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