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 환경의 변화와 국어학 연구의 방향
이용수 70
- 영문명
- A Change in Social Circumstances and Course of Korean Linguistics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신지연(Ji-yeon, Shin)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第58輯, 5~2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Despite the conservative academic attitude and atmosphere of Korean linguistics, the world has been going through transformation caused by progressive development of science technology since late 20th century. For instance, advancement in transportation, communication and computer technology has directly influenced individual lifestyle and contact pattern between individuals as well as between social strata which lead to several changes in social structure. Following diversification and new technological environment is challenging Korean linguistic society with new academic assignments. Generally the demand for the practical solution to the problems caused by usage of language is increasing. This article especially focuses on the rise of sociolinguistic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analysis and computational linguistics and talk about the prospect of Korean linguistics.
The subject of the sociolinguistics now can be widened from traditional subject namely language variation between different social status, race, gender and age to language variation between literary language and colloquial language, North Korean and South Korean language, and changes in Korean influenced by foreign language.
Especially development in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media provided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environment which makephase of human contact intricate. In contemporary society, the mass media is outgrowing in size and number and overwhelming the public culture. Also, the ideology of the mainstream in the society is spreading and maintained via mass media. Thus critical analysis of mass media is becoming one of the most important subject to research.
The computational linguistics, which is the new area and method in linguistics, is only at the first level when it comes to Korean. In fact it is at the verge of natural science and liberal arts thus it is can be stressful area for scholars of liberal arts. Yet computational linguistics must be studied as is a necessary sector.
In 21st century, when it comes to linguistics, language in recognized to be placed in using environment, and to interchange in the world. Unlike formal syntax or formal semantics. language is not considered to be placed in vacuum tuberather it is belived that users and other circumstantial factors are also important part in interpretation and production of languag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역사소설과 대중성
- 19세기 장편 한문소설과 청말 재학소설의 지식 제시 방식
- 고전소설의 무덤 활용양상과 문학적 기능
- 대한매일신보 소재 시조의 텍스트 변형 사례
- 김정일의 북한 문화예술의 지도 원리와 양상 고찰
- 자아정체성 구성을 위한 자전적 글쓰기 교육의 실제
- 玉所 權燮 漢詩의 閭巷文學的 性格
- 지명어의 탈락과 축약 현상에 대하여
- 탈관념의 시쓰기와 몸의 현상학
- 語文硏究 편집 및 심사규정 외
- 기억을 통한 오늘의 ‘일상’과 ‘소외’의 두 방식
- 한국 현대소설에서 ‘정신주의’에 대한 연구
- ‘연암(燕巖)’이라는 고전의 형성과 그 기원(1)
- 청주 ‘압각수(鴨脚樹)’ 전설의 전승력과 ‘홍수’화소의 지역성
- 다매체 환경에서 문학의 정체성과 연구방법 모색
- 유치환 초기 시의 동물 상징 체계
- 서술성 명사의 판별과 관련된 몇 문제
- 대중매체 언어와 국어 음운론 연구
- 후부지명소의 분포를 통한 지명어의 지역적 특성 연구
- 고전적 은유론과 해석학적 은유론 비교 고찰
- 『조선동화집』 수록 동화의 부정적 호랑이像 偏載 현황과 원인
- 충청 지역 서사민요의 전승양상과 문화적 특질
- 사회 환경의 변화와 국어학 연구의 방향
- <소약란직금도>의 갈등양상과 그 해결의 의미
- 누정 건축 공간과 누정시 연구 방법론 모색
- 金壽長의 孤山 尹善道 詩歌 受容과 그 意義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