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Educational Study On the Phrases on the Board of the Pillar in Korean Temples
- 발행기관
- 한국교육철학회
- 저자명
- 박상주(Park Sang-joo)
- 간행물 정보
- 『교육철학』敎育哲學 第33集, 57~8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the theme of Buddhism, such as Buddhist sutra and thoughts, Buddhist institutions, Buddhist arts and musics, and Buddhist clothes and foods. However,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the phrases on the board hanging the pillar of temple buildings.
This study is intended to translate and analyse the Chinese-character phrases on the board and to extract the educational meaning from them.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usage of the phrases on the board is to decorate the Buddhist building itself and to give people the knowledge and direction on the mindcultivation and religious life.
Second, the sources of the phrases on the board are the Buddhist sutra and famous monks" poems, such as Hwaumkyung, Buphwakyung, Keumgangkyung and Hansansi.
Third, the contents of the phrases on the board are to praise and worship Buddha and Buddhist saints, and to display the free and lofty emotion arising from the beautiful scenery.
Fourth, the phrases on the board are written by the famous calligraphers and monks.
Fifth, the colors of the phrases on the board are white and black to make them look better.
Sixth, the educational role of the phrases on the board is to help students to explore a historic scene, especially traditional temples.
In conclusion, this study will help to change our viewpoint on cultural assets from the field of sightseeing to that of education.
This study is intended to translate and analyse the Chinese-character phrases on the board and to extract the educational meaning from them.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usage of the phrases on the board is to decorate the Buddhist building itself and to give people the knowledge and direction on the mindcultivation and religious life.
Second, the sources of the phrases on the board are the Buddhist sutra and famous monks" poems, such as Hwaumkyung, Buphwakyung, Keumgangkyung and Hansansi.
Third, the contents of the phrases on the board are to praise and worship Buddha and Buddhist saints, and to display the free and lofty emotion arising from the beautiful scenery.
Fourth, the phrases on the board are written by the famous calligraphers and monks.
Fifth, the colors of the phrases on the board are white and black to make them look better.
Sixth, the educational role of the phrases on the board is to help students to explore a historic scene, especially traditional temples.
In conclusion, this study will help to change our viewpoint on cultural assets from the field of sightseeing to that of education.
목차
Ⅰ. 서언
Ⅱ. 주련의 내용
Ⅲ. 주련의 교육적 논의
Ⅳ. 결언
참고문헌
Abstract
Ⅱ. 주련의 내용
Ⅲ. 주련의 교육적 논의
Ⅳ. 결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자(莊子)에 있어 ‘자연적 교육관’
- 포스트모던 과학교육의 정당화 - Lyotard를 중심으로
- 한국 사찰 주련(柱聯)의 교육적 소고(小考)
- 플라톤의 교육적 이상(理想)으로서의 프쉬카고기아
- 명화감상활동의 인식론적 고찰과 교육적 적합성
- 退溪의 子女敎育論 - 寄安道孫을 中心으로
- 교원평가의 목적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장횡거(張橫渠) 性論 고찰을 통한 窮理ㆍ盡性의 교육이론적 意義
- 『교육철학』게재논문 총목록 (창간호~32집)
- 한국교육철학회 연구윤리규정
- 동양의 교육 전통에서 ‘배움’의 의미 - 원시유학의 논의를 중심으로
- 1907년 평양대부흥운동이 사회교육에 미친 영향
- 총체적 이상에 비추어 본 관심의 교육적 의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M대학 역량기반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 실태와 맞춤형 통합교육모델 연구
- 청년의 장기취업준비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요약 : 희망중심진로발달모델을 중심으로
- Borich 요구도와 Locus for Focus 분석을 활용한 영유아교사의 공감수업 실행 요구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