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레이디 수잔』의 집필 시기
이용수 55
- 영문명
- Composition date of Lady Susan
- 발행기관
-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 저자명
- 송관용(Song Kwan-yong)
- 간행물 정보
- 『영어어문교육』영어어문교육 제13권 제1호, 133~15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3.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y to date the letters of Lady Susan and to find out which year"s calender Jane Austen used to write the novel. The novel in forty-one letters with a brief narrated conclusion was transcribed as a fair copy by Jane Austen around 1805. However, no conclusive evidence for a precise date of composition exists, as only the fair copy survives. There is a watermark of 1805 on two leaves of the surviving manuscript of the transcribed copy. This indicates the period of the work"s transcription but it does not indicate when it was first composed beyond suggesting that it was completed sometime before 1805. In the novel itself Jane Austen marked time sufficiently and frequently enough to allow us to follow it precisely. This strongly suggests that Jane Austen used a calender to write letters of the novel, even though dates and days were not given to the letters. To determine the most probable date of the calender is significant because it can be a clue to clarify when the novel was composed originally. Many words and phrases pointing to specific days or periods are mentioned in almost all the letters of the novel. From the words and phrases, a potential date to each letter can be successfully deduced and a potential possible calender for the novel can be made. In the end, all attempts to determine the authentic calender used for the novel fail. The main reason for the failure is that discovering clues to a specific authentic date to each letter proves internally impossible. Composition date of the novel still remains as a challenge requiring further study.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레이디 수잔』의 집필 시기
- Predicting English Achievement Using Learning Styles of Korean EFL College Students
- 영작문 자동 채점 시스템 개발 연구
- 속독훈련과 자율독서 학습방법을 통한 대학생의 영어 독해력 향상 방안
- A Path to Speaking Excellence : Exploring Causes and Effects among Speaking Barriers
- 학습자의 오류에 대한 교사의 오류 수정 - 학습자 자기 교정 유도를 중심으로
- 영어교육에서의 전통적 가치관과 미국문화
- Ordinary People"s Tragedy : Comparative Study of Plays of Arthur Miller and Beomsuk Cha
- EFL Learners" Perceptions on English Writing Tasks and Teacher Feedback
- A Study on Error Analysis & Hedging Expressions of Medical Research Abstracts
- 캐럴 처칠의『클라우드 나인』에서의 혼재향
-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회칙 외
- 영자신문을 활용한 고등학생의 영어 독해능력 향상에 관한 사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