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습자의 오류에 대한 교사의 오류 수정 - 학습자 자기 교정 유도를 중심으로
이용수 491
- 영문명
- Teacher"s corrective feedback: Focus on initiations to self-repair
- 발행기관
-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 저자명
- 김영은(Kim Young-eun)
- 간행물 정보
- 『영어어문교육』영어어문교육 제13권 제1호, 111~13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3.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eacher"s corrective feedback types in an error treatment sequence in Korean EFL classroom setting. Corrective feedback moves are coded as explicit correction, recast, or initiations to self-repair. The frequency and distribution of each corrective feedback type are examined. But the special focus was given on feedback types eliciting learner"s self-repair (clarification request, metalinguistic feedback, elicitation, and repetition of error) because initiations to self-repair are believed to facilitate language learning more than other strateg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n overwhelming tendency for teacher to use recasts whereas initiations to self-repair were not used as much as recast (52.4% vs. 29.5%). Second, the teacher tended to select feedback types in accordance with error types: namely, recasts after phonological, lexical, and translation errors and initiations to self-repair after grammatical errors though th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Finally, teacher"s belief and students" expectation on corrective feedback were compared with actual corrective feedback representations respectively and some mismatches were found. Though both teacher and the students acknowledged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self-repair, self-repair were not put into practice as such.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more initiations to self-repair be used for effective language learni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부록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부록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레이디 수잔』의 집필 시기
- Predicting English Achievement Using Learning Styles of Korean EFL College Students
- 영작문 자동 채점 시스템 개발 연구
- 속독훈련과 자율독서 학습방법을 통한 대학생의 영어 독해력 향상 방안
- A Path to Speaking Excellence : Exploring Causes and Effects among Speaking Barriers
- 학습자의 오류에 대한 교사의 오류 수정 - 학습자 자기 교정 유도를 중심으로
- 영어교육에서의 전통적 가치관과 미국문화
- Ordinary People"s Tragedy : Comparative Study of Plays of Arthur Miller and Beomsuk Cha
- EFL Learners" Perceptions on English Writing Tasks and Teacher Feedback
- A Study on Error Analysis & Hedging Expressions of Medical Research Abstracts
- 캐럴 처칠의『클라우드 나인』에서의 혼재향
-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회칙 외
- 영자신문을 활용한 고등학생의 영어 독해능력 향상에 관한 사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