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팔당호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연구
이용수 164
- 영문명
- Studies on the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Paldang Lake
- 발행기관
- 상지대학교 환경과학기술연구소
- 저자명
- 김영길(Young Geel Kim) 신윤근(Youn Keun Shin) 최준길(Jun Kil Choi)
- 간행물 정보
- 『환경과학연구』제6권 제1호, 20~31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공학 > 환경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0.12.0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팔당호에서 하계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99년 7월과 9월에 팔당호로 유입되는 북한강, 남한강, 경안천 유입부와 팔당호 수계에서 6개 지점을 선정하여 총 2회 조사하였다. 그리고 환경요인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팔당호에서 수온, 투명도, 용존산소, 고형부유물질, 규산염, 총인, 엽록소-a를 조사하였다. 팔당호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은 총 162종으로서 78속 108종 4품종 25변종 25미동정종으로 구성되었다. 녹조류가 90종으로 전체에서 55.5%의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였고, 규조류가 46종류로 28.4%로 다음으로 중요한 종군이었으며, 남조류(14종, 8.6%), 유글레나류(4종, 2.5%), 와편모조류(3종, 1.9%), 황색편모조류(3종, 1.9%), 은편모조류(2종류, 1.2%)순으로 나타나 녹조류가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우점종은 남조류에서는 Microcystis aeruginosa, Microcystis incerta, Anabaena spiroides v.crassa가 관찰되었다. 규조류에서는 Fragilaria crotonensis, Aulacoseira granulata가 관찰되었으며, 녹조류에서는 Dictyosphaerium pulchellum, Eudorina elegans가 우점종으로 관찰되었다. 현존량은 최저 3,977 cellsㆍ㎖?¹에서 최고 61,855 cellsㆍ㎖?¹로 조사되었다. 종 다양성 지수와 균등도 지수, 우점도 지수는 각각 0.50~2.99, 0.15~0.81, 0.06~0.82로 조사되었다. 남한강과 북한강이 합쳐지는 팔당호 혼합 수계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남한강 수계보다는 북한강에 영향을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해성 남조류는 여름철에 경안천 유업부에서 높게 나타나 팔당호 중심수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of the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Paldang lake in the summer, two surveys were conducted at six stations at the mouths of the Nothern Han River, the Southern Han River, and the Kyung-An stream, and in the Paldang lake in July 1999 and September 1999. Water temperature, transparency, dissolved oxygen, suspended solids, silicate, total phosphorus, and chlorophyll-a were measured to understand how the environmental parameters could affect the phytoplankton community. A total of 162 taxa of phytoplankton, including diatoms, dinoflagellates, green algae, and bule-green algae, were identified. The dominant species were Microcystis aeruginosa, Microcystis incerta, Anabaena spiroides v. crassa(blue-green algae), Fragilaria crotonensis, Aulacoseira granulata(diatoms), Dictyosphaerium pulchellum, and Eudorina elegans (green algae). The standing crop of the phytoplankton community ranged between 3,977 cellsㆍ㎖-1 and 61,855 cellㆍ㎖-1. The diversity, evenness, and dominant indices were ranged from 0.50 to 2.99, from 0.15 to 0.81, and from 0.07 to 0.82, respectively. In the area where waters from the Southern and Northern Han River are mixed, the phytoplankton community was appeared to be more influenced by the Northern Han River than by the Southern Han River. Concentatration of harmful bluegreen algae was hight at the mouth of the Kyung-An Stream, in the summer impling that the central area of the Paldang Lake was mainly affected by the Kyung-An Stream.
목차
요약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연구내용 및 방법
결과 및 토의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연구내용 및 방법
결과 및 토의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환경공학분야 BEST
- 한국 대학생의 통학방법과 학업 스트레스 사이의 연관성 -지속가능한 교통과 학업 환경-
- 청소년의 액상형 전자담배 흡연과 알레르기비염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국내 다양한 미소환경에서의 계절별 초미세먼지 및 오존 실내ㆍ외 농도 비
공학 > 환경공학분야 NEW
- 안전한 화학제품 설계를 위한 딥러닝 기반 화학물질 기능 및 용도 예측모델 개발
- 한국 소방관의 직업성 소음 노출과 청력에 대한 문헌고찰(1992~2024)
- [편집인의 글] 2024년 숫자로 돌아본 한국환경보건학회지는, 그리고 앞으로의 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