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함량 실리카 Cullet 생산을 위한 왕겨재 용융 특성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Melting Characteristics of Rice Husk Ash for Silica-Enriched Cullet Production
발행기관
한국환경에너지공학회
저자명
김동주 구재회
간행물 정보
『환경에너지공학』제20권 제2호, 46~53쪽, 전체 8쪽
주제분류
공학 > 환경공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 in the high value-added utilization of recycled resources and the efficient use of materials. Among various biomass-derived waste resources, rice husk ash(RHA), which contains over 90 % high-purity silica (SiO2), is attracting attention as an alternative raw material for silica supply. RHA is abundantly generated in rice-producing countries such as Vietnam, ensuring stable raw material availability. Currently, silica is an essential material used across industries including glass, semiconductors, and tires, and is primarily supplied from natural silica sand. However, fluctuations in international raw material prices and concerns about resource depletion have raised challenges for stable supply. In this context, RHA is considered a promising alternative feedstock for producing sodium silicate glass cullet, and more recently, its application has expanded into high-value sectors through conversion to porous amorphous nano-silica for advanced applications such as batteries and high-performance tires. This study evaluated the melting characteristics of two types of Vietnamese RHA to support the process design for silica cullet production. Key design and operation parameters for a melting furnace suitable for producing RHA based silica cullet are proposed.

영문 초록

목차

1. 서 론
2. 연구 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동주,구재회. (2025).고함량 실리카 Cullet 생산을 위한 왕겨재 용융 특성 연구. 환경에너지공학, 20 (2), 46-53

MLA

김동주,구재회. "고함량 실리카 Cullet 생산을 위한 왕겨재 용융 특성 연구." 환경에너지공학, 20.2(2025): 46-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