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등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의 과업활동 자료 분석
이용수 315
- 영문명
- An analysis of task-based materials in first-grade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 발행기관
-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 저자명
- 전인재(Jeon In-Jae)
- 간행물 정보
- 『영어어문교육』영어어문교육 제12권 제4호, 253~27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2.0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aspects of task-based materials i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for first year students in Korea.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s for designing communicative tasks and the basic content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for English, a total of six different qualitative evaluation categories of task-based materials are constructed. The six categories include input data, settings, activity types, language skills, activity themes, and communicative functions.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showed that the regulations of the 7th national English curriculum, which were aimed at improving the students" communicative abilities, were properly reflected in the materials of task-based activities of all textbooks. On the other hand, a few problems were found in some textbooks: too many individual tasks; being out of proportion in presenting task types and themes; non-systematic introduction of language skills, etc. To conclude, a few suggestions are made to provide some meaningful considerations for the text material developers in order to produce better textbooks in the future: task goals and rationale that encourage the learner"s positive motivation; authenticity of input data based on the real-world context; a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that enhances communicative interaction; a proportional representation of the various activity types including creative problem-solving procedures; systematic introduction of integrated language skills, etc.
목차
Ⅰ. 머리말
Ⅱ. 과업활동 중심 언어학습의 이론적 배경
Ⅲ. 과업활동 텍스트의 분석 및 평가기준
Ⅳ. 과업활동 텍스트의 비교 분석
Ⅴ. 맺음말
참고문헌
부록
Ⅱ. 과업활동 중심 언어학습의 이론적 배경
Ⅲ. 과업활동 텍스트의 분석 및 평가기준
Ⅳ. 과업활동 텍스트의 비교 분석
Ⅴ. 맺음말
참고문헌
부록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협동학습을 활용한 고등학교 영어 쓰기 지도 효과
- The Acquisition of the English Locative Alternation by Korean EFL Learners - What Makes L2 Learning Difficult?
- Unaccusativity and L2 Passive Construction
- Teaching English as a Dominant International Language - A Case of Korean Elementary English Program
- WBI 수준별 수업을 통한 영어 의사소통능력 향상 방안
- 코퍼스를 통한 고등학교 영어교과서의 어휘 분석
- Korea-Japan English Camp: A Case Study of English Immersion Program in Korea
- 고등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의 과업활동 자료 분석
- 솔 벨로우의 『죽음보다 더한 실연』에 나타난 사랑의 의미
- 수준별 소집단 협력학습 유형이 학습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영어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회칙 외
- 초등영어 수업에서 자기 주도적 교수에 대한 교사의 인식
- 존 던의 “거룩한 쏘넷”: 부활의 노래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교사 및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주도적 태도, 공동체 주도성 및 주도적 행동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챗GPT 피드백에 대한 대학생 인식 연구: 영작 컨퍼런스 활용 사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