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협동학습을 활용한 고등학교 영어 쓰기 지도 효과
이용수 761
- 영문명
- The effectiveness of English writing instruction using the cooperative learning approach in high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 저자명
- 민찬규(Min Chan-Kyoo) 김보경(Kim Bo-Kyeong)
- 간행물 정보
- 『영어어문교육』영어어문교육 제12권 제4호, 185~21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2.0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has two purposes. First, it aims to suggest an appropriate approach to English writing education for Korean high school students in a cooperative learning situation. It also aims to suggest what type of learner grouping, either homogeneous or heterogeneous, is appropriate by comparing the learners" writing abilities and the changes of their affective factors after being exposed to cooperative EFL writing instruction. Two homogeneous classes were selected and instructed to write in English for 11 weeks. One was composed of homogeneous small groups based on the students" writing scores, and the other was composed of heterogeneous small groups, again based on the students" writing scor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mprovement between the two class types was quite different across different proficiency levels. For example, although there i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homogeneous and the heterogeneous classes of low and intermediate-level learners in writing ability improvement, high-level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lass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class participation correlated significantly to writing ability improvement. Cooperative learning was proved to be an effective writing instructional approach to encourage learners" interest and increase their self-confidence; however, the result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rners" affective domain between the homogeneous and the heterogeneous classes. Similarly, the learners" grouping preference was not affected by the grouping method.
목차
Ⅰ. 서론
Ⅱ. 협동 학습을 적용한 쓰기 지도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부록
Ⅱ. 협동 학습을 적용한 쓰기 지도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부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협동학습을 활용한 고등학교 영어 쓰기 지도 효과
- The Acquisition of the English Locative Alternation by Korean EFL Learners - What Makes L2 Learning Difficult?
- Unaccusativity and L2 Passive Construction
- Teaching English as a Dominant International Language - A Case of Korean Elementary English Program
- WBI 수준별 수업을 통한 영어 의사소통능력 향상 방안
- 코퍼스를 통한 고등학교 영어교과서의 어휘 분석
- Korea-Japan English Camp: A Case Study of English Immersion Program in Korea
- 고등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의 과업활동 자료 분석
- 솔 벨로우의 『죽음보다 더한 실연』에 나타난 사랑의 의미
- 수준별 소집단 협력학습 유형이 학습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영어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회칙 외
- 초등영어 수업에서 자기 주도적 교수에 대한 교사의 인식
- 존 던의 “거룩한 쏘넷”: 부활의 노래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교사 및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주도적 태도, 공동체 주도성 및 주도적 행동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챗GPT 피드백에 대한 대학생 인식 연구: 영작 컨퍼런스 활용 사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