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시에 나타난 미적 거리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국어 읽기 교과서(4-6년)를 중심으로
이용수 82
- 영문명
- The Study on aesthetic distance of children"s verse in textbook -emphasis on elementary school reading textbook(4-6grade)-
- 발행기관
- 한국어문교육학회
- 저자명
- 이해웅(Yi Hae-ung)
- 간행물 정보
- 『어문학교육』어문학교육 제32집, 149~17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5.0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treatise investigates aesthetic distance of children"s verse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
In view of the results so far archived. fir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parate themselves from aesthetic contemplate object. In result, they gain psychical distance.
Second, Students can"t appreciate Korean classical verses aesthetically. Because Korean classical verses contain excessive instruction and they need aesthetic distance.
Fourth, Characteristic children"s verse make world & self into onebody in relation to the sense of self.
Fifth, Objective correlative select images that divided sentiments into poem. In results they maintain aesthetic distance.
Children"s verse was had to publish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 with aesthetic nostalgia & aesthetic distance. And Children"s verse was had to studied in aesthetic distance.
In view of the results so far archived. fir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parate themselves from aesthetic contemplate object. In result, they gain psychical distance.
Second, Students can"t appreciate Korean classical verses aesthetically. Because Korean classical verses contain excessive instruction and they need aesthetic distance.
Fourth, Characteristic children"s verse make world & self into onebody in relation to the sense of self.
Fifth, Objective correlative select images that divided sentiments into poem. In results they maintain aesthetic distance.
Children"s verse was had to publish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 with aesthetic nostalgia & aesthetic distance. And Children"s verse was had to studied in aesthetic distance.
목차
Ⅰ. 서론
Ⅱ. 작품 분석의 이론적 근거
Ⅲ. 작품 분석
Ⅳ. 미적 거리로 본 교과서 시의 위상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Ⅱ. 작품 분석의 이론적 근거
Ⅲ. 작품 분석
Ⅳ. 미적 거리로 본 교과서 시의 위상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문교육학회 회칙 외
- 다중지능 이론에 기초한 희곡 교재 지도 방안 연구 - 연극놀이를 중심으로
- 휘보
- 메타플랜(Meta-plan)을 활용한 토의ㆍ토론 학습 모형 연구
- 초기 현대여성시조 연구 - 김일엽의 시조세계
- 초등학교 쓰기 교육에서의 동시 창작 교육의 방향
- 「獻花歌」의 初等學校 國語敎科書 敎材化 方案 硏究
- 초등학생 말하기의 대화 분석론적 연구
- 교육연극을 통한 독서교육 방법 연구 - 초등학교 재량활동 운영과 관련
- 국어과 수업 분석의 방법 연구 - 학습자의 언어 활동을 중심으로
- 논증 구조 익히기를 통한 주장하는 글쓰기 지도 연구
- 초등학교 시에 나타난 미적 거리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국어 읽기 교과서(4-6년)를 중심으로
- 강소천 동화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