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Russian quantifier pronouns: Methodological perspective.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이은순(Lee Eun-Soon)
- 간행물 정보
- 『Foreign Languages Education』Vol.10 No.3, 309~32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09.0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explores the semantic and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Russian universal quantifier pronouns: vse, vsjakij, ljuboj, kazdyj, and also examines which characteristics make them mean similarly and differently in the sentence. The differential semantic features, such as 'multiplicity of selected objects,' 'samekindness of objects,' 'subjective or objective selection of objects,' etc. are used to distinguish these pronouns from one another. Certain syntactic conditions are required so that these pronouns might be used interchangeably in the sentence. They can be used interchangeably only in a sentence with non-past tense, in conditionals, or in epistemic modal sentences which express the possibility of the happening of the event denoted by the verb. This means that if all the participants modified by the quantifier pronoun should be involved in the action, only kazdyj or vse can be used .
목차
Abstract
러시아어 요약
Ⅰ. 서론
Ⅱ. 문법서들의 러시아어 양화 대명사 기술
Ⅲ. 러시아어 양화 대명사들의 의미적 구문적 특성
Ⅳ. 교수 적용 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Research Issues in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
- 회칙 외
- 한국어 화자의 영어 억양에 나타나는 L1의 전이 현상에 관한 연구
- Ultimate Attainment in L2 Acquisition: The Testing of the Aspect Hypothesis
- 현대 중국어 문장 중 부사와 문장 끝에 놓인 助詞 "了"의 상관 관계 고찰
- 한ㆍ일양언어의 담화에 나타나는 감탄사 연구: Face행위를 중심으로
- An HLM Approach in the Assessment of Individual Reading Growth
- Communication Breakdown and Its Repair in the Beginning English Classroom
- 화용적 능력에 입각한 수능 영어 말하기 문항 분석과 개선 방안
- Using Diaries as a Reflective Tool on an English Writing Teacher Training Course
- The Role of Awareness in Korean L2 Learners
- 러시아어 양화 대명사 특성 연구: 교수 상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 단어 목록의 제시 형태가 새로운 어휘의 기억과 사용에 미치는 영향
- A Suggestion for Enhancing Richness of CMC in the Foreign Language Classroom
- Autonomous Learning in On-line Interactions
- 영국의 외국어 교육 활성화를 위한 전략과 정책
- 멀티미디어 코스웨어 평가 지침 및 시행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