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est items in the speaking section of College Scholastic Abilities Test from the viewpoint of pragmatic competence: Analysis and suggestions.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신인숙(Shin Insook) 안병규(Ahn Byung-kyoo)
- 간행물 정보
- 『Foreign Languages Education』Vol.10 No.3, 219~23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09.0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test items in the speaking section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ies Test validly measure the pragmatic competence of test-takers. This study also makes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se items based on the analysis, so that they can better assess the learners' pragmatic competence in English. The analysis shows that the test items are rather limited in their ability to assess pragmatic competence. Specifically, the test items fail to provide sufficient pragmatic contexts, such as the social and psychological roles of interlocutors and the settings of the dialogues, which are typical of authentic discourses. The discourses are mostly of neutral formality, to the almost complete exclusion of colloquial and formal registers, lacking the diversity of registers observed in natural language use.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test items in the speaking section are made, and sample test items are provided.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개선 방안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Research Issues in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
- 회칙 외
- 한국어 화자의 영어 억양에 나타나는 L1의 전이 현상에 관한 연구
- Ultimate Attainment in L2 Acquisition: The Testing of the Aspect Hypothesis
- 현대 중국어 문장 중 부사와 문장 끝에 놓인 助詞 "了"의 상관 관계 고찰
- 한ㆍ일양언어의 담화에 나타나는 감탄사 연구: Face행위를 중심으로
- An HLM Approach in the Assessment of Individual Reading Growth
- Communication Breakdown and Its Repair in the Beginning English Classroom
- 화용적 능력에 입각한 수능 영어 말하기 문항 분석과 개선 방안
- Using Diaries as a Reflective Tool on an English Writing Teacher Training Course
- The Role of Awareness in Korean L2 Learners
- 러시아어 양화 대명사 특성 연구: 교수 상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 단어 목록의 제시 형태가 새로운 어휘의 기억과 사용에 미치는 영향
- A Suggestion for Enhancing Richness of CMC in the Foreign Language Classroom
- Autonomous Learning in On-line Interactions
- 영국의 외국어 교육 활성화를 위한 전략과 정책
- 멀티미디어 코스웨어 평가 지침 및 시행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