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내러티브(Narrative) 도덕교육의 성격과 실제
이용수 137
- 영문명
- Character and Practice of the Narrative Approach to Moral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육철학회
- 저자명
- 김희용(Kim Hoy-Yong)
- 간행물 정보
- 『교육철학』교육철학 25집, 1~1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8.0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 and practice of the narrative approach to moral education. Narrative approach to moral education meets post-modernism and feminism trends which emphasize small narratives of human life and women's voices instead of meta narrative and men's Voices. And one's narrative expresses and represents the functioning of one's psyche,
which has been mediated and shaped by language.
Narrative approach to moral education had started at the point that narrative has a role in human life and experience. And so, teachers and educators using a narral1ve approach to moral education should provid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tell then own moral stories, to speak in their own voices, and hence to authorize their own moral perspectives and experiences. Such an opportunity allows students to express and enhance their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through the
process of 'authoring' stories about their lived moral experiences. By representing the cognitive, affective and active dimensions of their moral experience through narrative, students will therefore be encouraged to reflect on their experience from the standpoint of their own moral perspective. This will lead not only to an increased sense of authority and authorization on behalf of that perspective, but also an increased sense of responsibility for action
And narrative approach to moral education includes three major elements of moral education, moral cognition. emotion, action. And so it is regarded as an integrated approach to it.
목차
Ⅰ. 서론
Ⅱ. 내러티브 도덕교육의 이론적 배경
Ⅲ. 내러티브 도덕교육의 성격
Ⅳ. 내러티브 도덕교육의 실제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