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듀이의 문제해결과 비판적 사고의 관계
이용수 262
- 영문명
- The analysis of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thinking and reflective problem-solving: Deweyan’s approach
- 발행기관
- 한국교육철학회
- 저자명
- 최석민(Choi Seok-Min)
- 간행물 정보
- 『교육철학』교육철학 25집, 163~17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8.0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Dewey's reflective problem-solving and critical thinking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Above all, even though Dewey believed the generalizability of critical thinking, It's not logically natural to take It as a method of teaching. In Dewey's View, the notion of methods isolated from subject-matter is responsible for the false conceptions of mscipline and interest.
Secondly, the It's useless to tell the relationships of inclusion between problem-solving and critical thinking in that, as usual, researchers on this issue are inclined to analyze them by their own perspectives. So, in tins research, after examining both conceptions through the medium of reflectivenes, the conclusion is that they are co-extensive in their usages.
Thirdly, Ennis urged that Dewey's view on thinking is totally subjective, psychological one in that the inquirer beheves what he wants to believe. But the characlenstics of Dewey's reflective inquiry are far tram in Dewey claimed that one should acquire the ability to supplement the narrowness of his experience by utilizing the experiences of oihers It means what Ennis called 'Dewey's subjectivism' could be considered as much the same objective efforts as Ennis does in the practical thinking process
In conclusion, granted that Dewey was not a servant of subjectivism and the general principles on critical thinking could be changable according to the contexts, the infusion model of education might be successfully adopted as one of the dominant approaches in teaching thinking
목차
Ⅰ. 서론
Ⅱ. 비판적 사고의 쟁점에서 듀이의 위치
Ⅲ. 듀이의 문제해결과 비판적 사고의 관계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