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Dewey에 있어 경험과 교육의 관계
이용수 341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of the Conceptions of Experience and Education in John Dewey
- 발행기관
- 한국교육철학회
- 저자명
- 송도선(Song Do-Seon)
- 간행물 정보
- 『교육철학』교육철학 25집, 61~7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8.0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in analysing the relationship of the conception of experience and education in John Dewey
For the first, we need to understand that the experience used by Dewey involves several types and meanings. The experience has six types, primary and second experience in the side of its content,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 in the side of Its method, and educative and mis-educative
experience In the aspect of value. In the other hand, the experience in Dewey Involves following
meanings; two phases in the same times of content and method, and results, and two phases of acting and thinking in its activity.
Its two aspects of process
Dewey's concept of education is also comprehensive, covering not only the formal one, schooling but the informal one as self-renewal process by participating in the nature and the society So, it is not easy to grasp the relationship or the difference of experience and education
But education is included in a part of experience, for there is two kinds of experience in the value, an educative one which gives rise to active interaction and promotes growth of further
experiences, and an mis-educative one which arrest or distort growth, and for education is a development within experience
The modifier of ' constant' has very Important meaning in a definition so called that "education is a constant reorganizing or reconstructing of experience ", Thus it is important thing
in education to choose, arrange and suggest experiences which could have student engage his present activities, and at the same time, promote having desirable future experiences.
목차
Ⅰ. 서언
Ⅱ. 경험의 개념
Ⅲ. 교육의 개념
Ⅳ. 교육적 경험
Ⅴ. 경험과 교육
Ⅵ. 결어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