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Grammar Dictation을 통한 중학생의 영어 쓰기 지도 방안
이용수 245
- 영문명
- 발행기관
-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구 영남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안수웅 정인숙
- 간행물 정보
- 『영어교육연구』제16권 1호, 131~15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3.0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writing skill has been given the lowest priority among English language skills in Korea. This paper aims to determine whether Grammar Dictation (GD) improves students' writing skill. It posed three questions: (1) Will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 their writing skill more than the control group after having GD lessons for one semester: (2) After the experiment, will the experimental group show a higher level of interest in learning writing than the control group: and (3) Are errors reduced and is there evidence of semantic approximations to the original text, created out of learners' own grammatical resources? Thirty seven students in a middle school were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irty eight, the control group.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findings were (D After the experiment, the experimental group's writing abilit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s: (2)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higher interest in learning writing than the control group: (3) There was evidence that students wrote texts creatively using their grammatical/linguistic resources during the GD classes. GD is recommended as a way to improve general language competence through writing activities.
목차
ABI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부록A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Korean University Students'Knowledge in English Phrasal Verbs
- 대학 영어강독 TETE 수업에 관한 연구
- The differntial Effects of Focus on Form Intructions on EFL Learners'Grammar Learning
- 초등학습자의 영어 쓰기에서 나타난 오류 분석에 관한 사례연구
- 제2언어 글쓰기 교수에서 문학의 역할
-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 개발연구 : 고등학교 공통영어 문자 언어를 중심으로
- 어휘 중심적 접근법에서 바라본 모둠활동을 통한 한국대학생들의 읽기 행동의 분석
- Teachers' Decision-making in EFL, Classroom Assessments
- 교양영어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와 영어학업 성취도의 상관관계에 대한 종단 연구
- Variability and Pragmatic Naturalness in the Performance of English Greetings
- Grammar Dictation을 통한 중학생의 영어 쓰기 지도 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렉섬 사례를 중심으로
- 성인 문해능력 수준 결정요인의 변화 양상: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2014년과 2023년 비교 연구
- 학습도시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디자인 개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