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differntial Effects of Focus on Form Intructions on EFL Learners'Grammar Learning
이용수 127
- 영문명
- The differntial Effects of Focus on Form Intructions on EFL Learners'Grammar Learning
- 발행기관
-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구 영남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Dong-Ho Kang
- 간행물 정보
- 『영어교육연구』제16권 1호, 29~5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3.0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ough there is general agreement that focus on form plays a key role in the acquisition of a target structure, types of instruction are currently the topic of debate and empirical investigation. While the professional literature abounds with the values of focus on form instructions in second language classrooms, few researchers have investigated the differential effects of the focus on form instructions in terms of L2 learners' proficiency levels.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1) the differential effects of input-based and consciousness-raising instructions on the acquisition of L2 English present perfect tense and (2) L2 learners' views on the instructions in terms of their proficiency levels through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input enhancement instruction was more effective for the Jess advanced learners, while the consciousness raising instruction was helpful to more advanced L2 learners. Therefore, we should take into account L2 learners' factors when deciding which instructional types to use.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METHOD
Ⅳ. RESULT
Ⅴ.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Korean University Students'Knowledge in English Phrasal Verbs
- 대학 영어강독 TETE 수업에 관한 연구
- The differntial Effects of Focus on Form Intructions on EFL Learners'Grammar Learning
- 초등학습자의 영어 쓰기에서 나타난 오류 분석에 관한 사례연구
- 제2언어 글쓰기 교수에서 문학의 역할
-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 개발연구 : 고등학교 공통영어 문자 언어를 중심으로
- 어휘 중심적 접근법에서 바라본 모둠활동을 통한 한국대학생들의 읽기 행동의 분석
- Teachers' Decision-making in EFL, Classroom Assessments
- 교양영어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와 영어학업 성취도의 상관관계에 대한 종단 연구
- Variability and Pragmatic Naturalness in the Performance of English Greetings
- Grammar Dictation을 통한 중학생의 영어 쓰기 지도 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렉섬 사례를 중심으로
- 성인 문해능력 수준 결정요인의 변화 양상: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2014년과 2023년 비교 연구
- 학습도시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디자인 개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