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Korean University Students'Knowledge in English Phrasal Verbs
- 발행기관
-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Myongock Won
- 간행물 정보
- 『영어교육연구』제16권 1호, 79~10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3.0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Recent years have seen a considerable growth in the area of L2 vocabulary acquisition studies. Many of these studies focus on lexical items in a broader social interactional context of language. referred to as lexical chunks. Phrasal verbs are a type of lexical chunks and consequently share much of their linguistic and functional features. This paper aims both to review some theoretical points relevant to English phrasal verbs and to examine how much Korean university students know about and how well they can use the phrasal verbs. 89 university students were asked to complete a test on 25 English phrasal verbs. The test consists of three parts: self-reporting about knowledge level on the items. supplying their understanding in the form of a Korean translation or an English synonym, and producing the items in a sentenc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Korean university students are very poor at English phrasal verbs. In particular. they hardly have the ability to produce them in semantically and grammatically correct sentences. Familiarity and semantic transparency seem to be major factors influencing their ability to understand and produce English phrasal verbs.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ENGLISH PHRASAL VERBS
Ⅲ. A DIAGNOSTIC STUDY
Ⅳ.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Grammar Dictation을 통한 중학생의 영어 쓰기 지도 방안
- Teachers' Decision-making in EFL, Classroom Assessments
- The differntial Effects of Focus on Form Intructions on EFL Learners'Grammar Learning
- 초등학습자의 영어 쓰기에서 나타난 오류 분석에 관한 사례연구
- 제2언어 글쓰기 교수에서 문학의 역할
- 대학 영어강독 TETE 수업에 관한 연구
- Korean University Students'Knowledge in English Phrasal Verbs
- 교양영어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와 영어학업 성취도의 상관관계에 대한 종단 연구
- Variability and Pragmatic Naturalness in the Performance of English Greetings
-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 개발연구 : 고등학교 공통영어 문자 언어를 중심으로
- 어휘 중심적 접근법에서 바라본 모둠활동을 통한 한국대학생들의 읽기 행동의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Vol.3 No.8 Contents
- 从中西诠释比较看马克思文本诠释方法
- 西方生态学马克思主义:理论基石、时代价值与理论局限探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