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정서기능 : 개념의 소개 및 연구 전망

이용수  603

영문명
Emotional Intelligence:Its Conceptualization and Research Perspectives
발행기관
서울대학교 심리과학연구소
저자명
이주일(Ju-iI Lee) 민경환(Kyung-Hwan Min)
간행물 정보
『심리과학』제5권 제1호, 67~84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6.12.0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최근 정서 개념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개념과 차원에 대한 고찰을 비롯하여 관련 연구들을 개관하고, 정서지능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 각각의 의미와 중요성을 살펴봄으로써 정서지능과 조직 행동 간의 관계성 규명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Mayer, Hesee 그리고 Salovery(1993)등이 주장한 정서지능의 구성 요소들을 살펴 보고, 정서지능의 측정방법에 관한 논의들에 대한 고찰과 더불어 구체적인 측정 방법의 일례로서Goldman (1995)의 정의에 입각한 측정 도구의 내용을 제시하였다. 또한 정서지능이 개인의 일상 생활에 미치는 영향과 중요성 및 활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들을 언급하고 그러한 연구들의 제한점을 발달, 개념 및 구성차원의 측면에서 고려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정서지능 개념의 정교화, 발달적 조망, 조직 행동과의 관련성 등의 문제에 대한 심리학적 연구의 필요성과 그 잠재적 중요성을 전망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hasize the need for research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organizational behavior. Studies pertaining to conceptualizations and dimensions of emotional intelligence were reviewed to investigate significantly related factors, as proposed by Mayer, Hsee, and Salovey(l993), and the implications thereof. Furthermore, a discussion of measurement methods is presented, using as a specific example a scale based on Goleman's(l995) definition. The overview of the studies concerning the implications and applications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individual's daily life is provided as well as their limitations in terms of developmental, conceptual, and constructive perspective. Finally, this study proposed the need for psychological research on elaborating the concept of emotional intelligence, its developmental implications, and its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behavior.

목차

정서지능의 개념과 차원
정서지능의 측정
일상생활에서 정서지능의 활용
정서지능 연구의 한계
추후 연구 과제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주일(Ju-iI Lee),민경환(Kyung-Hwan Min). (1996).정서기능 : 개념의 소개 및 연구 전망. 심리과학, 5 (1), 67-84

MLA

이주일(Ju-iI Lee),민경환(Kyung-Hwan Min). "정서기능 : 개념의 소개 및 연구 전망." 심리과학, 5.1(1996): 67-8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