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白鳳來 詩經論의 編輯批評的 性格 硏究
이용수 99
- 영문명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redaction criticism of Baek Bong Rae's Shikyung-ron(詩經論)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이병찬(Lee Byong-chan)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어문연구 제48집, 195~21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8.0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terms of the history of the criticsm on Shikyung-ron, questions on the styles of Shikyung have not been solved.
In order for the problem to be solved, intentions of Gongja known as an editor of shikyung need to be revealed.
『Samkyugtongui(三經通義)』that this paper investigated revealed Gonja's editorial intentions and any nobooks have revealed the styles of Shikyung in a more detailed way than this book.
The arguments departed from the assumption that Gonja organized Jooyeok, Suhkyung, and Shikyng.
Therefore, Baek Bong Rae claimed that Jooyeok, Suhkyung, and Shikyng had similarities in terms of the styles.
A reason that he made such a claim is that he studied with Samkyung including explanations based on Joojahak. Therefore, it is hard to find creativity in the issues that had been questioned until then for they adopted views found in Joojahak as they are.
However, he deserves high credit for finding and organizing the similarities of the styles that Samkyung had, which old scholars had not been able to reveal.
Shikyung has double structures. Various works found in Shikyung were written by many different people, so they have different structures. But as Shikyung was put together in one anthology, another structure was formed in addition to the existing structures. That is, it can be said that 'a style', a structure between poems, was formed.
If a style is a simple enumeration of poems, it cannot be meaningful, but the style of Shikyung doesn't appear to be simple and contain a certain meaning.
Baek Bong Rae did reveal the meaning that the style of Shikyung contains and said that it is the very intention that Gongja organized Shikyung.
His argument may be against other existing theories, but it could be rational when it is viewed in his theory itself.
The style and editorial intention of Shikyung that『Samkyugtongui』deals with may not agree with Gongja's intention. In spite of it, his creative views can be valued as a part of a variety of interpretations of Shikyunng.
Studies on critiques of Shikyung should not seek one truth about meanings of Shikyung. That is because the literary values of Shiykung comes from the fact that Shikyng can be interpreted in many different ways.
목차
1. 서론
2. 백봉래의 시경론 자료
3. 백봉래 시경론의 편집비평적 성격
결론 - 백봉래 시경론의 의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원회록>의 영웅소설적 면모
- 단재 소설 <용과 용의 대격전>의 내용 및 형식
- 唐代批評으로 본「안민가」
- 『삼대』의 대화적 담론과 근대성 연구
- <시집살이요>의 텍스트성 연구
- 김수장의 시조 인식과 문학사적 의의
- '우리ㆍ알ㆍ얼'의 어원과 어의변천 연구
- 기억과 연대를 생성하는 고백적 글쓰기 ― 신경숙의『외딴방』론
- '양(洋)'의 이입과 '향(鄕)'의 발견 - 이태준의「고향」에 나타난 '고향(故鄕)'의 의미를 중심으로 -
- 식민지 시대 김기림의 의식 변모 양상 - 구모룡의「식민성 근대주의의 한 양상」비판
- 谿谷 張維의 散文에 나타난 현실 비판 의식과 대응 양상
- <흥보가>에 나타난 극적 갈등의 변이와 의미
- 漢文의 休止 硏究
- 潛齋 金益謙의 詩文學 硏究
- 白鳳來 詩經論의 編輯批評的 性格 硏究
- '두더지 혼인' 설화의 印ㆍ中ㆍ韓 비교고찰
- 存齋 魏伯珪의 文學論 硏究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