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이용수 461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Perceived by Adolescents to Their Self-Esteem
- 발행기관
-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국길숙(Kook Gil Sook) 이미숙(Lee Mi Sook)
- 간행물 정보
- 『생활과학연구논집』제23권 제1호, 89~10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12.0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perceived by adolescents to their self-esteem. The subjects are the boy and girl students in their first year of two regular high schools and two business high schools selected.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responses from 169 boys and 328 girls, were chosen for final analysis. For data analysis, t-test, one-way ANOVA, Duncan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were used. The major finding are as follows: 1) Regarding how the students perceived parent-child communication, mothers shared more open communication with adolescents than fathers. The boy students had more open communication with fathers, who were of the same gender, than the girls did. The fathers who received middle-school or less education leaned toward problematic communication more than the other fathers whose educational level was highschool graduates or higher. The adolescents who perceived their family members ro get along amicably shared open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The fathers whose children attended business high school shared less open and more problematic communication with their children. 2) The level of self-esteem of adolescents is slightly above the average. Those who considered their families to be more peaceful felt better about themselves. 3) The adolescents who found themselves to have more open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were in possession of higher self-esteem, and those who considered themselves to share more problematic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were inferior in self-esteem. 4) The adolescents who had problematic communication with both parents were rated lowest in their self-esteem.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관련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반가정과 시설기관 유아의 기질과 사회적 능력 비교 연구
-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규정 외
- 청소년 소비자의 소비수준과 소비표준
- 이슬람권 국가의 복식문화 특징에 관한 연구
- 브랜드 개성과 브랜드 연상이 의류브랜드 자산 형성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 유아원 어린이들의 식습관과 급식영양상태에 관한 연구
- Hippism이 20세기 패션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
- 유치원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자녀양육태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
- 유아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 유아 수영복의 치수체계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외식 소셜미디어에 대한 지각된 가치가 지식공유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커피산업 종사자의 자기주도 직무재구성이 직무만족, 직무열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네이버플레이스 외식 정보처리 과정에 관한 연구: 이중처리과정 이론(Dual Process Theory)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