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중과정모형(dual process model)의 사회복지 실천 적용 가능성: 사별 후 파일럿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pplying Dual- Process Model to Social-Work Practice: Pilot Study on Bereaved Clients
- 발행기관
- 한경국립대학교 장애인고등교육개발원
- 저자명
- 남일성
- 간행물 정보
- 『포용과 사회통합 연구』제1권 제2호, 25~3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별을 겪은 클라이언트 지원체계 마련을 위한 기초 연구로써 사별 후 심리적 적응을 이해하기 위한 이론적 틀인 이중과정모형을 소개하고, 이중과정모형의 경험적 검증을 위한 파일럿 연구의 결과를 보고한다. 이중과정모형에 따라 균형적 대처를 한 그룹이 비균형적 대처를 한 그룹에 비해 더 안정적인 심리적 결과를 보일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했다. 연구는 Y시 S호스피스 시설에서 운영하는 사별 치유 프로그램 참가자 65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상실 관련 대처와 회복 관련 대처의 수행 여부에 따라 세 집단(균형, 비균형, 무대처)으로 분류하였다. 종속변수로는 복잡성비애와 우울증상을 설정하고, 연령·성별·사별 후 경과시간을 공변량으로 통제한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균형 그룹이 비균형 그룹에 비해 오히려 더 높은 복잡성비애와 우울증상을 나타냈다. 사별을 경험한 클라이언트를 위한 실천의 이론적 틀로써 이중과정모형이 제공하는 유익과 함께, 실제 적용 시 고려해야 할 해석의 정교화 및 개선점에 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A foundational investigation is performed in this study to develop a support system for clients who have experienced bereavement. In particular, the dual-process model (DPM) is introduced a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psychological adjustment following loss, and the findings of a pilot study that empirically tests the model are presented. The study hypothesizes that individuals who engage in balanced coping exhibits more stable psychological outcomes compared with those with unbalanced coping. A total of 65 individuals participated in a bereavement healing program operated by a hospice center in Y City. Based on their engagement in loss-oriented and restoration-oriented coping strategies, they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i.e., balanced, unbalanced, and inactive.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complicated grief and depressive symptoms. An analysis of covariance was conducted by controlling for age, gender, and time since loss. Contrary to the hypothesis, the balanced coping group reported higher levels of complicated grief and depressive symptoms than the unbalanced group. This study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the DPM as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practice with bereaved clients. The findings highlight the necessity for nuanced interpretation and refinement when applying the model in real-world settings.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청년실업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86권 목차
- Factors Asscociated with Non-Suicidal Self-Injury and Suicidal Behavior among Runaway Youth
- 북한이탈주민 지체장애인의 남한 사회로의 삶의 여정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1)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