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복지 전공 대학생의 현장실습 경험이 스트레스 수준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Effects of Field-Practicum Experience on Stress Levels Among Social-Welfare Students
- 발행기관
- 한경국립대학교 장애인고등교육개발원
- 저자명
- 김태우 진제원 최정민 심재현
- 간행물 정보
- 『포용과 사회통합 연구』제1권 제2호, 15~24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회복지 전공 대학생의 현장실습 경험이 스트레스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경기도 지역 대학교의 사회복지 전공 재학생과 졸업생 1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실습 경험, 스트레스 수준 등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t-검정,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퍼바이저와의 관계가 긍정적일수록 스트레스 수준이 유의미하게 낮았으며(β=-.212, SE=.105, p<.05), 실습 목적이 명확하다고 인식할수록 스트레스 수준은 오히려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β=.205, SE=.081, p<.05). 본 연구는 실습의 질적 향상을 위해 수퍼바이저와의 관계 형성과 실습 설계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교육적·심리적 지원 방안 마련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field-practicum experiences on the stress levels among social-welfare student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01 current students and graduates majoring in social welfare at universities in the Gyeonggi-do region. Data pertaining to practicum experiences and stress levels were obtained and analyzed using SPSS,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upervisors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ower stress levels (β =-.212, SE=.105, p<.05), whereas clearer practicum goals are paradoxically related to higher stress levels (β=.205, SE=.081, p<.05).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supervisor relationships and practicum design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practicum experiences and suggests the necessity for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support interventions to reduce stress among practicum students.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청년실업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86권 목차
- Factors Asscociated with Non-Suicidal Self-Injury and Suicidal Behavior among Runaway Youth
- 북한이탈주민 지체장애인의 남한 사회로의 삶의 여정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1)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