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교사의 학교폭력 인식 재구성: Kolb 경험학습 이론을 적용한 현상학적 사례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Reconstructing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School Violence: A Phenomenological Case Study Applying Kolb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발행기관
휴먼서비스행복연구소
저자명
이영희
간행물 정보
『휴먼서비스문화연구』제7권 제2호, 206~217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1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Kolb의 경험학습 이론을 적용한 학교폭력이해 교과과정이 예비교사의 학교폭력인식 변화와 실천적 역량 강화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J도 소재 M대학교 사범대학 예비교사 59명을 대상으로 15주간 실제 사례 분석, 역할극, 토의, 현장 활동 등 체험적 학습을 실시하고, 일부 참여자(6명)를 대상으로 종단적 심층면담을 병행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반복적 경험과 반성적 관찰을 통해 학교폭력의 원인을 개인적 요인에서 구조적⋅관계적 맥락으로 확장하여 인식하였으며, 공감 능력과 정서적 민감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또한, 회복적 정의모델 등 새로운 개입 방안을 도출하고, 이를 현장 실습에 적용하며 실천적 역량을 내면화하였다. 본 연구는 경험학습 기반 프로그램이 예비교사의 학교폭력 인식 재구성과 실천적 태도 형성에 효과적임을 시사하며, 예비교사 교육과정에 체험적⋅반성적 학습의 적극적 도입과 장기적 효과 검증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a school violence education curriculum based on Kolb’s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on changes in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school violence and the enhancement of their practical competencie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59 pre-service teachers from the College of Education at M University in J Province over 15 weeks. The curriculum included experiential learning activities such as real case analysis, role plays, discussions, and field activities. In-depth longitudinal interviews were also conducted with six participants. The results showed that pre-service teachers expanded their understanding of the causes of school violence from individual factors to structural and relational contexts through repeated experiences and reflective observation. Their empathy and emotional sensitivity were significantly improved. Furthermore, they derived new intervention strategies, such as restorative justice models, and internalized practical competencies by applying these strategies during field training. The findings suggest that experiential learning-based programs are effective in reconstructing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school violence and fostering practical attitudes. The study recommends the active integration of experiential and reflective learning into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the need for long-term effect verification.

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3. 연구방법
4.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영희. (2025).예비교사의 학교폭력 인식 재구성: Kolb 경험학습 이론을 적용한 현상학적 사례 연구. 휴먼서비스문화연구, 7 (2), 206-217

MLA

이영희. "예비교사의 학교폭력 인식 재구성: Kolb 경험학습 이론을 적용한 현상학적 사례 연구." 휴먼서비스문화연구, 7.2(2025): 206-2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