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병대 장병을 위한 NLP 그룹 코칭의 효과성 검증: 내적 통제성, 대인관계 능력, 군 복무 적응을 중심으로
이용수 6
- 영문명
-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s of NLP group coaching for Marine Corps soldiers: focusing on internal control, interpersonal skills, and adaptation to military service
- 발행기관
- 휴먼서비스행복연구소
- 저자명
- 박기례 김지안
- 간행물 정보
- 『휴먼서비스문화연구』제7권 제2호, 99~11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 목적은 NLP(Neuro-Linguistic Programming)기반 그룹 코칭 프로그램이 해병대 장병의 내적 통제성, 대인관계 능력, 군 복무 적응력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해병대 OO사단 캠프에 참가한 병사 중 자발적으로 참여한 63명(실험집단 30명, 통제집단 33명)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비동일집단 사전-사후 검사 설계를 적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프로그램 효과를 비교하였다. 실험집단은 6주간 주 2회 회기당 120분씩 총 12회기의 NLP 그룹코칭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으며, 내적 통제성, 대인관계 능력, 군복무 적응력 척도에 대해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독립표본 t-검정 및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NLP 그룹코칭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내적 통제성(t = -2.79, p < .01), 대인관계 능력(t = -4.40, p < .001), 군복무 적응력(t = -3.94, p < .001), 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특히 대인관계 하위요인 중 개방성, 신뢰감, 의사소통에서 가장 큰 변화가 나타났으며, 군복무 적응에서는 심신상태와 직무만족이 두드러지게 향상되었다.
논의 및 결론은 NLP 기반 그룹코칭이 군 조직 내에서도 효과적인 단기 심리 개입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장병의 심리적 복원력과 조직 적응력 향상을 위한 실천적⋅정책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향후 군 심리 지원 프로그램 개발의 이론적⋅실천적 근거를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s of a Neuro-Linguistic Programming (NLP)-based group coaching program on internal locus of control,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military service adaptation among Marine Corps soldiers. The participants were 63 voluntarily recruited soldiers from OO the Marine Division camp, consisting of an experimental group (n = 30) and a control group (n = 33).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 posttest design was applied to compare the effects of the program between the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 total of 12 NLP group coaching sessions conducted twice a week for six weeks, with each session lasting 120 minutes. Pre- and post-tests were administered using standardized scales measuring internal locus of control,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adaptation to military servi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4.0 through reliability analysis, independent samples t-tests, and paired samples t-tes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improvements than the control group in internal locus of control (t = -2.79, p < .01), interpersonal competence (t = -4.40, p < .001), and military service adaptation (t = -3.94, p < .001). In particular, notable improvements were observed in openness, trust, and communication within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in physical mental condition and job satisfaction within military adapt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NLP-based group coaching can serve as an effective short-term psychological intervention tool within military organizations and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foundations for developing future psychological support programs for soldiers.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NLP 그룹코칭 프로그램 개발
5. 연구결과
6.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관광객의 반려동물 동반 관광에 대한 인식과 행동의도 분석
- 대상관계와 이마고 이론을 적용한 중년부부 상담 사례 연구
- 청소년이 지각한 긍정적 부모양육태도와 친구 관계가 다문화 수용에 미치는 영향
- 베트남 유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공감학습 요구분석
- 프로이트의 히스테리 환자 에미 폰 N. 부인에 대한 정신분석적 임상 사례 연구
- 중국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이중언어 강사 교육 프로그램 기초 연구
- 불안에 대한 정신분석적 고찰과 기독교상담적 적용
- 중년 여성의 우울감과 수면의 질 개선을 위한 셀프 경혈 마사지 경험 연구
- 우울증 대학생의 모래놀이치료에서 나타난 자기 변환 과정
- 자기애적 나르시시즘에 대한 정신분석적 고찰과 기독교상담적 함의
- 예비교사의 학교폭력 인식 재구성: Kolb 경험학습 이론을 적용한 현상학적 사례 연구
- 남성 은퇴자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그린투어리즘 경험 연구
- 해병대 장병을 위한 NLP 그룹 코칭의 효과성 검증: 내적 통제성, 대인관계 능력, 군 복무 적응을 중심으로
-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AI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 폐업 소상공인의 강점활용 심리지원서비스 활성화 방안 연구
- 그룹코칭프로그램이 MZ세대 대학생의 대인관계 능력, 의사소통 능력,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내담자와 상호관계에서의 상담자 성장에 관한 연구: Giorgi 분석틀을 중심으로
- 학교 밖 청소년의 대인 간 문제해결력 변화를 위한 ‘양 떼를 지켜라’ 보드게임 활용
- 개성화 상담의 길잡이로서 타로 메이저 아르카나 활용 방안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