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광고사진의 몸 이미지와 젠더에 대한 담론
이용수 0
- 영문명
- A Discourse Study on Advertisement's Body Images and Gender
- 발행기관
-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 저자명
- 함현
- 간행물 정보
- 『영상기술연구』제11호, 173~19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 word gender, which appears many of the long period of time in our society. Throughout this matter of gender have been the cause of ideology over the past years to in present time. As a result, the movement of feminism have been focus of many scholars and the group of feminist. However, the representation of men and women in media based on gender as a method of subject. On the other hand, media presents still face many of the gender matters, which in a variety of men and women's bodies, where we are actually get experienced as a stereotype of human being. A number of studies point out that this matter of gender is deeply appears not only our society, as well as in media.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 and gender in terms of the representation of men and women's bodies in advertisement, iconology, and cultural phenomenon. Gender, defined as the actual matter of behavior in our society, the form of representation, and the system of media. Using men and women's bodies images in advertisement, they are associated with power relation between two genders. Insofar, they provide a regularly and necessary to use and the form of representation of object as commercial areas. Although gender is not a new form of representation method, but still useful to make a discourse in present in order to making a sex appeals. Men and women's bodies images, which advertisement often say about the discrimination between the different opposite of sex. Men as a mechanical machine and women as a sex appeal are often the use and sources for advertisement without a particular reason to present, insofar, men always on top, women in opposite situation in both our society and media. Therefore, we must realize that decrease of gap between men and women's matter of gender. And also, we need to get rid of ideology from old fashion of social and cultural aspect of views.
영문 초록
목차
Ⅰ.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Ⅱ. 몸 이미지와 미디어의 작용
Ⅲ. 젠더와 미디어의 관계
Ⅳ. 몸 이미지와 젠더의 구조적 특성과 사례분석
Ⅴ. 결론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연예사업의 현황과 문제에 대한 발전 방안
- 한국 상업영화 수익성 집단간 연출특성 비교-2000년대 고수익성 영화집단 5작품과 저수익성 영화집단 5작품의 비교를 통해-
- 한국영화 부가시장 활성화를 위한 오픈플랫폼 도입 논의
- 디지털 시네마 상영을 위한 적정 관람환경-해상도, 관람거리, 스크린 크기를 중심으로-
- 리얼리티 프로그램에 대한 기호학적 서사분석-KBS의 <1박 2일>을 중심으로-
- <구글 스케치업>활용을 통한 장면의 시각화 연구
- 필름과 HD카메라와의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슈퍼 35mm, 슈퍼 16mm, 와 Red one을 중심으로-
- 광고사진의 몸 이미지와 젠더에 대한 담론
- '이와이 슈운지'영화 속에 나타난 Perspective 연구-러브레터, 4월의 이야기, 피크닉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