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디지털 시네마 상영을 위한 적정 관람환경-해상도, 관람거리, 스크린 크기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Optimal Viewing Environment for Digital Cinema-Focusing on Resolution, Picture Height, Screen Size-
- 발행기관
-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 저자명
- 조성민
- 간행물 정보
- 『영상기술연구』제11호, 77~9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ptimal screening environment in a digital cinema, focusing on Resolution, Screening distance and Screen size. It used the quantitative analysis method to give an realistic aspect in screening in a digital cinema.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strictly restrained by 22 different abundantly experienced directors on service. For this study, 2K and 4K DCP were each produced and each DCP was shown to the analysts with a certain amount of time apart, followed with a survey.
As to the conclusions of the experiment, firstly, the participants distinguished the differences in resolution of each DCP and the visual satisfaction was generally high. Second, depending on the screening distance it showed a difference between 2K and 4K. Also as the resolution improved, the screening distance was shortened. Third, the larger the screen size, the screening distance was shortened to naturally increase the horizontal view angle of the audience. Which also increased the satisfaction of the viewer. In conclusion, in a digital cinema, the three factors, resolution, screening distance and screen size, are critical in inventing the best picture quality.
This study has its value, in that the recipients were a group of experts who work as directors on service. However, whether the results can be applied to general cinemas and audiences, is still something that will need further research with not only heavy users; people who view a movie more than once a month, but every movie consumers. Further on, as to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lthough this research was executed through a quantitative analysis the selected group was small. Objectively the screening distance had a major impact on the resolution, however this research will need to execute further experiments on subjective factors such as sound effects.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연구설계와 방법
Ⅲ. 디지털 시네마 적정 관람환경 결정 요인에 대한 실증분석
Ⅳ. 결론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연예사업의 현황과 문제에 대한 발전 방안
- 한국 상업영화 수익성 집단간 연출특성 비교-2000년대 고수익성 영화집단 5작품과 저수익성 영화집단 5작품의 비교를 통해-
- 한국영화 부가시장 활성화를 위한 오픈플랫폼 도입 논의
- 디지털 시네마 상영을 위한 적정 관람환경-해상도, 관람거리, 스크린 크기를 중심으로-
- 리얼리티 프로그램에 대한 기호학적 서사분석-KBS의 <1박 2일>을 중심으로-
- <구글 스케치업>활용을 통한 장면의 시각화 연구
- 필름과 HD카메라와의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슈퍼 35mm, 슈퍼 16mm, 와 Red one을 중심으로-
- 광고사진의 몸 이미지와 젠더에 대한 담론
- '이와이 슈운지'영화 속에 나타난 Perspective 연구-러브레터, 4월의 이야기, 피크닉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