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연예사업의 현황과 문제에 대한 발전 방안
이용수 0
- 영문명
- Issues and Solution for Entertainment Business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 저자명
- 진승현
- 간행물 정보
- 『영상기술연구』제11호, 5~36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re was suicide of an new actress Jang Ja-yeon on the 7th of March in 2009. The background of her death has veiled the filthy side of entertainment business and caused the fierce debate. The most disputed issues are involved with the social right of entertainers in the entertainment business where they work irregularly, where they are self-employed, where their income varies extremely.
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 called ILO suggests that the social security regulations protect entertainers's human right. ILO also finds the way to appropriate them for entertainers. (the article 12) There are rooted structural problems in the overall entertainment business. Prevalent are survival games between TV broadcasting stations and outside productions pursuing only profits by focusing program popularity rating. Movie industry is the same only based on audience numbers and profits. Therefore, entertainers are forced to follow these situations without condition. what is the difference of entertainer's management system of between in Korea and in USA?
While the system in USA is the agent system that negotiates and arbitrates the various situations between entertainers and production, that in Korea control everything of entertainers including more private parts. The core of the entertain management system in USA is completely systematic division between management and production. And that makes it the most powerful body in providing casting opportunity and helping close relation between entertainers and productions. With this point of view, this research will investigate the disgraceful circumstances which is the human right of entertainers abused by predominant productions and entertain agencies. Furthermore it will find the solutions.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연예사업의 현황과 문제에 대한 발전 방안
- 한국 상업영화 수익성 집단간 연출특성 비교-2000년대 고수익성 영화집단 5작품과 저수익성 영화집단 5작품의 비교를 통해-
- 한국영화 부가시장 활성화를 위한 오픈플랫폼 도입 논의
- 디지털 시네마 상영을 위한 적정 관람환경-해상도, 관람거리, 스크린 크기를 중심으로-
- 리얼리티 프로그램에 대한 기호학적 서사분석-KBS의 <1박 2일>을 중심으로-
- <구글 스케치업>활용을 통한 장면의 시각화 연구
- 필름과 HD카메라와의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슈퍼 35mm, 슈퍼 16mm, 와 Red one을 중심으로-
- 광고사진의 몸 이미지와 젠더에 대한 담론
- '이와이 슈운지'영화 속에 나타난 Perspective 연구-러브레터, 4월의 이야기, 피크닉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