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영화 부가시장 활성화를 위한 오픈플랫폼 도입 논의
이용수 0
- 영문명
- Application of the Open Distribution Platform to the Korean Film Industry for Revitalizing the Secondary Market
- 발행기관
-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 저자명
- 현대원
- 간행물 정보
- 『영상기술연구』제11호, 59~7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 Korean film industry has been growing with repeating the cycle of growth and recession. Currently, Korea's film industry, peaked in 2006, is entering into the down turn, facing a serious cri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Korean film industry, to analyze major factors causing the recession, and finally to find out a way out of recession mainly focusing on the secondary market.
As the Korean film industry is entering into the path of drastic recession, it in turn is raising issues pertaining to its weak structure. Due to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movie goers, production cost increase and revenue decease, the Korean film's profit structure is not sound, and this stagnation seems to continue for a while. Among various problems, collapse of the ancillary market is pointed out as the most serious problem.
The profit share of the digital distribution of film content remains at 2% level despite the fact that the IPTV /digital cable market is growing fast thanks to the almost full penetration of the broadband. Furthermore, DVDNHS sales and rental market is dwindling fast.
Therefore, revitalizing the secondary market seems quite essential in order to resolve the current crisis and to improve the profit structure. Above all,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open platform for the distribution of film content effectively. In particular, the open DRM platform model with limited roles presented in this paper can be leveraged to resolve long-held conflicts surrounding copyright violation and to convert to a trust-based market. This also can be leveraged to vitalize diverse derivative transactions that can help the secondary market of the film content to surpass the primary market.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시장 환경의 변화
Ⅲ. 연구문제 및 방법론
Ⅳ. 한국영화산업의 성장과 침체
Ⅴ. 부가시장의 붕괴
Ⅵ. 부가시장 활성화를 위한 근본적인 대안
Ⅶ. 결론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연예사업의 현황과 문제에 대한 발전 방안
- 한국 상업영화 수익성 집단간 연출특성 비교-2000년대 고수익성 영화집단 5작품과 저수익성 영화집단 5작품의 비교를 통해-
- 한국영화 부가시장 활성화를 위한 오픈플랫폼 도입 논의
- 디지털 시네마 상영을 위한 적정 관람환경-해상도, 관람거리, 스크린 크기를 중심으로-
- 리얼리티 프로그램에 대한 기호학적 서사분석-KBS의 <1박 2일>을 중심으로-
- <구글 스케치업>활용을 통한 장면의 시각화 연구
- 필름과 HD카메라와의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슈퍼 35mm, 슈퍼 16mm, 와 Red one을 중심으로-
- 광고사진의 몸 이미지와 젠더에 대한 담론
- '이와이 슈운지'영화 속에 나타난 Perspective 연구-러브레터, 4월의 이야기, 피크닉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