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제공동영화제작의 경향과 정책
이용수 0
- 영문명
- The International Co-production Trend and Policy in Filmmaking
- 발행기관
-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 저자명
- 송낙원
- 간행물 정보
- 『영상기술연구』제16호, 181~20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 international co-production is suggested as an alternative to expand market size. Its advantages are the ease with raising funds, combining the advantages and know-how of participants, and the sharing of the market and the result of exploiting a new market together. The purpose and meaning of the international co-production is to make qualified and high-budget film which one can not make on one’s own, by sharing and combining a ‘budget’, ‘human resources and know-how’, ‘information and material’, and ‘motion picture technology’.
It is divided into three groups by the stage in which the cooperation is made in the programme process. The first group is co-financing, which means making film by working out a plan for financing together. Normally it is the most common form in co-production. Second one is co-production, which is sharing financial partnerships and processes like plan and producing. In this case, there can be many problems including cultural differences, production systems, and sharing responsibilities between two countries because the production process is shared by two countries. Third one is co-venture, which covers above-mentioned two groups. Generally co-production means the second one.
This research suggests the international co-production as a solution to improve Korean film industry getting worse by determining the fundamental cause. Furthermore, it is planed to make a manual for the practical process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international co-production. Therefore this research focuses on analyzing the problems about co-production circumstances in Korea and around the world, based on the concept and the definition of the international co-production, the history of the international co-production in America, Europe, and Asia, and the structure and the nature of a world film market.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화 속 복도 공간의 시각화 연구 - 공간 형태의 서사적 기능을 중심으로 -
- 일제시기 한국영화 스타일 연구: 발굴된 극영화들을 중심으로
- 영상미디어 환경의 변화에 따른 게임방송의 미래
- 다큐멘터리 제작의 기획, 촬영, 편집의 변화와 다양성에 관하여- 다큐멘터리 'Don't Laugh at Me' 제작에 나타난 사례를 중심으로 -
- 애니메이션 제작기법에 따른 운동 이미지의 비교연구: 픽실레이션과 로토스코핑을 중심으로
- 영화의 새로운 관람 및 영사방식- 뉴미디어로서의 갤러리영화 -
- 한국 영화의 촬영과 조명 시리즈 4: 영화 <통증>의 비주얼 콘셉트(Visual Concept)와 매체의 선택이 영상기술의 발전사에 부여하는 의미
- 느와르 영화의 색채에 대한 연구- 달콤한 인생을 중심으로 -
- 영화적 시각화 및 청각화 기술 - 눈에 보이지 않고, 말로 들리지 않는 것의 시청각화 -
- 국제공동영화제작의 경향과 정책
-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의 소통과 상호작용의 기호학적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