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화의 새로운 관람 및 영사방식- 뉴미디어로서의 갤러리영화 -
이용수 0
- 영문명
- New Ways of Seeing and Screening in Film- the Gallery Film as an Alternative Cinema -
- 발행기관
-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 저자명
- 정재형
- 간행물 정보
- 『영상기술연구』제16호, 105~11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6.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Gallery film is not just the film shown in the gallery itself. It is sure that gallery film is shown in the gallery and also, especially for its purpose is to get the other ways of screening, seeing, and alternative contents. It's a whole new different media from traditional film forms. Gallery film is different from the fact that its space meaning is confused and the degree of concentration is different. It is very ambiguous whether the naming of cinema is nowadays correct or not.
Today the term 'gallery film' conceived in European sphere is dated from 1999, Cinema d'Exposition by Jean-Christophe Royoux at first, Raymond Bellour puts it 'the Other Cinema'. Gallery film is widespread through many expositions like Venice Bienalle. The chronological famous events are: Hall of Mirrors: Art and Film Since 1945 (Museum of Contemporary Art, Los Angeles, 1996), Spellbound (Hayward Gallery, London, 1996), Le Mouvement des images (Centre Georges Pompidou, Paris, 2006), Cinema Effect: Illusion, Reality and the Moving Image (Hirshhorn Museum, Washington DC, 2008).
The contemporary is the age of combustion and it's sure that the two medias are put together. By way of screening a film in the gallery, the media is not a film any more, also not an art, and the new exquisite art works is created. We can understand that gallery film is defined as a remediation in the process of unification that one media is become the other media. That is come from film or art space and is remediated.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화 속 복도 공간의 시각화 연구 - 공간 형태의 서사적 기능을 중심으로 -
- 일제시기 한국영화 스타일 연구: 발굴된 극영화들을 중심으로
- 영상미디어 환경의 변화에 따른 게임방송의 미래
- 다큐멘터리 제작의 기획, 촬영, 편집의 변화와 다양성에 관하여- 다큐멘터리 'Don't Laugh at Me' 제작에 나타난 사례를 중심으로 -
- 애니메이션 제작기법에 따른 운동 이미지의 비교연구: 픽실레이션과 로토스코핑을 중심으로
- 영화의 새로운 관람 및 영사방식- 뉴미디어로서의 갤러리영화 -
- 한국 영화의 촬영과 조명 시리즈 4: 영화 <통증>의 비주얼 콘셉트(Visual Concept)와 매체의 선택이 영상기술의 발전사에 부여하는 의미
- 느와르 영화의 색채에 대한 연구- 달콤한 인생을 중심으로 -
- 영화적 시각화 및 청각화 기술 - 눈에 보이지 않고, 말로 들리지 않는 것의 시청각화 -
- 국제공동영화제작의 경향과 정책
-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의 소통과 상호작용의 기호학적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