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영화의 촬영과 조명 시리즈 4: 영화 <통증>의 비주얼 콘셉트(Visual Concept)와 매체의 선택이 영상기술의 발전사에 부여하는 의미
이용수 0
- 영문명
- Cinematography and Lighting of Korean Cinema Series 4: The visual concept of the movie,
and the importance signified by the choice of medium on the development of visual technology - 발행기관
-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 저자명
- 윤용아
- 간행물 정보
- 『영상기술연구』제16호, 119~13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6.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Not only film-makers but also outsiders often wonder how certain shots in movies are executed. Unfortunately, there is very shallow database built up within Korean film industry on that subject matter. However, Korean film industry can't be blamed for that because the situation is simply based on supply and demand law. In other words, the cost required for building that database is way too high, but the number of professional film-makers who must know that database is way too low. For that reason, great number of Korean cinematographers and gaffers depend on foreign publications like 「Reflections」 released by ASC which are rather difficult for them to read, or they directly contact the film-makers who have the knowledge they need.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them save the time getting cinematographic information so they can spend that extra time creating more advanced look of images. I picked a few recent Korean films with stunning visual, then I did thorough cinematographic evaluation on them in series. Series1 was on Friend , Series 2 was on Duelist , Series3 was on Wanee and Junah , and for Series4, I chose Pain.
I picked Pain for number of reasons. The cinematographer of the film is Mr. Ki S. Hwang. He shot Pain on film but he says "there were no reasons to shoot this movie on film." Why did he do that then? He previously shot The Best Moments of Our Lives . Since the director of this movie did not really focus on the visual aspects, he didn't want this movie as his last film work. The digital age has come and it's coming faster in Korea more than any other places on earth. He doubts that he is going to have more opportunities to shoot movies on film. If that's the case, the movie Pain locates itself at the very important turning point on the flow of the visual technology development. I highly value that historical point and moment. As a film enthusiast, I almost felt obligated to do a technological research on this movie.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화 속 복도 공간의 시각화 연구 - 공간 형태의 서사적 기능을 중심으로 -
- 일제시기 한국영화 스타일 연구: 발굴된 극영화들을 중심으로
- 영상미디어 환경의 변화에 따른 게임방송의 미래
- 다큐멘터리 제작의 기획, 촬영, 편집의 변화와 다양성에 관하여- 다큐멘터리 'Don't Laugh at Me' 제작에 나타난 사례를 중심으로 -
- 애니메이션 제작기법에 따른 운동 이미지의 비교연구: 픽실레이션과 로토스코핑을 중심으로
- 영화의 새로운 관람 및 영사방식- 뉴미디어로서의 갤러리영화 -
- 한국 영화의 촬영과 조명 시리즈 4: 영화 <통증>의 비주얼 콘셉트(Visual Concept)와 매체의 선택이 영상기술의 발전사에 부여하는 의미
- 느와르 영화의 색채에 대한 연구- 달콤한 인생을 중심으로 -
- 영화적 시각화 및 청각화 기술 - 눈에 보이지 않고, 말로 들리지 않는 것의 시청각화 -
- 국제공동영화제작의 경향과 정책
-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의 소통과 상호작용의 기호학적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