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큐멘터리 제작의 기획, 촬영, 편집의 변화와 다양성에 관하여- 다큐멘터리 'Don't Laugh at Me' 제작에 나타난 사례를 중심으로 -
이용수 0
- 영문명
- The Alteration and Diversity of Pre-production, Production and Post-production of Making a Documentary- with a focus on the documentary 'Don't Laugh at Me' -
- 발행기관
-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 저자명
- 장지헌
- 간행물 정보
- 『영상기술연구』제16호, 69~8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Making a documentary is different than making a drama. Since drama is called a 'fiction' and the documentary is called a 'non-fiction'. Therefore, the alteration and diversity of making a documentary is more challenging and complicated than making a drama in a some way. In this thesis, I have tried to show the alteration and diversity of the documentary called 'Don't Laugh at Me'. While making the documentary, pre-production, production and post-production have been changed a good way or a bad way. However, the changing and alteration is a part of making a documentary, so we have to accept the confusion while making a documentary. Hopefully, this production note will help somebody who wants to make a documentary, and also to give them a courage.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화 속 복도 공간의 시각화 연구 - 공간 형태의 서사적 기능을 중심으로 -
- 일제시기 한국영화 스타일 연구: 발굴된 극영화들을 중심으로
- 영상미디어 환경의 변화에 따른 게임방송의 미래
- 다큐멘터리 제작의 기획, 촬영, 편집의 변화와 다양성에 관하여- 다큐멘터리 'Don't Laugh at Me' 제작에 나타난 사례를 중심으로 -
- 애니메이션 제작기법에 따른 운동 이미지의 비교연구: 픽실레이션과 로토스코핑을 중심으로
- 영화의 새로운 관람 및 영사방식- 뉴미디어로서의 갤러리영화 -
- 한국 영화의 촬영과 조명 시리즈 4: 영화 <통증>의 비주얼 콘셉트(Visual Concept)와 매체의 선택이 영상기술의 발전사에 부여하는 의미
- 느와르 영화의 색채에 대한 연구- 달콤한 인생을 중심으로 -
- 영화적 시각화 및 청각화 기술 - 눈에 보이지 않고, 말로 들리지 않는 것의 시청각화 -
- 국제공동영화제작의 경향과 정책
-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의 소통과 상호작용의 기호학적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