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텔레비전 장르의 상호매체성에 관한 연구-다큐 예능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Television Genre of Intermediality-Its Focus on Documentary and Entertainment Program-
- 발행기관
-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 저자명
- 함현
- 간행물 정보
- 『영상기술연구』제20호, 161~17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Recently, television program has developed the convergence called hybrid genre that attract the audiences has become a major driving force in TV industry. In other words, the hybrid genre of TV program leads to the remediation as a result of intermediality. The TV genre of Intermediality is cross-media era castle in the center of new media culture that is creating a domino effect and remarkable phenomenon of narrative structure. As a result, the television program related features of the cross-media audiences to meet the cultural needs of the incessant action code, and a new golden age of television culture to be welcomed. This study is based on hybrid TV program genre with cross-media convergence phenomenon occurs the nature of the narrative structure of signification look for patients. Viewers of the popular sheepdog to form a feature of the genre, such as observation and recording of the contents of the factual realism and authenticity of the content and meaning of the code, spontaneous laughter that occur analyzed.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found that subjects of soldiers and semantic structure that occurs between the audience and the uniqueness of the narrative approach is the delivery of an active participation of the audiences. Moreover, an inter-active media audience due to sexual interaction that forms the head of the participation points was to be able to see. Forming the active participation of prisoners’ documentary entertainment genre produced programs are endless ways to encourage the development and remediation, natural way for the subject and the object of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catalytic role of extended to be performed.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진짜 사나이>의 텍스트 분석
Ⅳ. 결론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디어를 이용한 개인정보보호의 적극적 홍보 방안 연구
- 내러티브 공간의 영화적 의미창조에 대한 연구
- 텔레비전 장르의 상호매체성에 관한 연구-다큐 예능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방송프로그램 유통을 위한 메타데이터 표준화에 관한 연구
- 멀티카메라 작업을 위한 조명과 카메라 운용 <세 번 결혼하는 여자>를 통해 본 TV스튜디오 드라마제작
- 예술과 첨단특수효과 결합영화의 가능성 -<그래비티(Gravity)>를 중심으로-
- 글로벌콘텐츠펀드 영화정책 연구
-
영화
에 나타난 여성혐오적 시각과 안티페미니즘 - 60년대 한국영화에 나타나는 空間의 근대성 연구 -이만희감독 영화를 중심으로-
- 레오 까락스 영화의 사운드 영역 확장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