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60년대 한국영화에 나타나는 空間의 근대성 연구 -이만희감독 영화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Modernity of Space Appearing in Korean Films in the 60’s -Focusing on the Films of Director Lee Man-hee-
- 발행기관
-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 저자명
- 윤장호
- 간행물 정보
- 『영상기술연구』제20호, 85~10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Korea in the 60’s had to undergo a lot of trials and errors with their body in the situation of modernization. Director Lee Man-hee played variation differently from the other directors in this phenomenon, and built up his own world of film. Although the 60’s was the era when modernism movies were performed internationally, it was the time when Korean movies were blocked from the world movies, and it would not be too much to say that the way of talking through “space and character” shown in the films of Director Lee were totally made by his agony on his art works. He was a director who was excellent in approaching familiar things unfamiliarly. The space of Seoul Station at that time was a space of hub, which had a symbolic meaning of modernity, and which is a dangerous and alluring space and a space of opportunity and loss. This ambivalent feature may be the self-portrait of modernization of Korean society in the 60’s. Director Lee interpreted the situation of the times that this spaciality had and expressed it in his films consistently by emphasizing vertical formativeness or through uncomfortable placement. Director Lee is testing themes through the experiment of various space organization regarding modernization of capitalism which he could not help accepting in his films.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디어를 이용한 개인정보보호의 적극적 홍보 방안 연구
- 내러티브 공간의 영화적 의미창조에 대한 연구
- 텔레비전 장르의 상호매체성에 관한 연구-다큐 예능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방송프로그램 유통을 위한 메타데이터 표준화에 관한 연구
- 멀티카메라 작업을 위한 조명과 카메라 운용 <세 번 결혼하는 여자>를 통해 본 TV스튜디오 드라마제작
- 예술과 첨단특수효과 결합영화의 가능성 -<그래비티(Gravity)>를 중심으로-
- 글로벌콘텐츠펀드 영화정책 연구
-
영화
에 나타난 여성혐오적 시각과 안티페미니즘 - 60년대 한국영화에 나타나는 空間의 근대성 연구 -이만희감독 영화를 중심으로-
- 레오 까락스 영화의 사운드 영역 확장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