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글로벌콘텐츠펀드 영화정책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f the Film Policy for the Global Contents Fund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 저자명
- 송낙원
- 간행물 정보
- 『영상기술연구』제20호, 41~6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has announced and worked on roadmap for globalization of Korean culture since 2011. As a result, ‘Global Contents Fund’ was created and 40 billion won was invested to Sovic Global Contents Investment Cooperative via the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which managed fund of fund by the Government in April 2011. Along with it, around 123.6 billion won Global Contents Fund has finally been created with domestic and foreign private investors. This has been the largest scale of single contents fund.
The Second Global Contents fund was even harder to be organized. Leading Investment, which Korean Venture Investment decided to invest had organized ‘Leading NEW-GEN Global Contents Investment Cooperative’ which was around 135 billion won. Nevertheless, it gave up the right as a Trust management company(GP) because it failed to attract investment from LP, which were foreign investors. Ministry of Culture tried to reorganize this unfinished the second fund with Daesung Private Equity, Inc.- Company K Consortium. However it failed to raise the investment of 100 billion won and gave up GP as well. At that time, CJ Private Equity, Inc. which took the second rank has taken over the right of operation. It failed to form the fund eventually in the end of 2013. In these reasons, as of yet, 2014, the Second Global Contents Fund is far from certain for two years since the Government planned it.
The wrong policy by the Government caused this problem. The Government failed to form fund because of excessive regulations although it planned to launch Korean cultural industry abroad by Global Contents Fund. This thesis discusses fund and fund policy which is the most important in contents industry including film.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디어를 이용한 개인정보보호의 적극적 홍보 방안 연구
- 내러티브 공간의 영화적 의미창조에 대한 연구
- 텔레비전 장르의 상호매체성에 관한 연구-다큐 예능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방송프로그램 유통을 위한 메타데이터 표준화에 관한 연구
- 멀티카메라 작업을 위한 조명과 카메라 운용 <세 번 결혼하는 여자>를 통해 본 TV스튜디오 드라마제작
- 예술과 첨단특수효과 결합영화의 가능성 -<그래비티(Gravity)>를 중심으로-
- 글로벌콘텐츠펀드 영화정책 연구
-
영화
에 나타난 여성혐오적 시각과 안티페미니즘 - 60년대 한국영화에 나타나는 空間의 근대성 연구 -이만희감독 영화를 중심으로-
- 레오 까락스 영화의 사운드 영역 확장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